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변민수 교수
변민수 연구실은 노인정신의학, 특히 알츠하이머병을 중심으로 한 노인성 치매의 병태생리, 조기 진단, 위험 예측,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KBASE 등)를 기반으로, 임상 평가, 신경심리검사, 다중 모달 뇌영상(PET, MRI 등), 혈액 및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기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뇌 내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혈액 바이오마커, 유전자 다형성, 대사체, 장내 미생물 등 다양한 생체지표와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혈중 타우 및 아밀로이드 농도를 이용한 조기 진단법 개발, QPLEX™ 등 다중 바이오마커 패널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딥러닝 기반 뇌영상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치매의 조기 진단과 위험 예측을 위한 다중 요인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혈액, 유전자, 대사체, 장내 미생물, 생활습관, 심혈관 위험인자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매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고 병의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발굴합니다. 또한, 딥러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뇌영상 자동 분석, 다중 오믹스 데이터 통합 분석,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 모델 개발 등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 및 관리,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그리고 국가적·사회적 치매 극복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회 및 국제 컨퍼런스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와 논문, 그리고 정부 및 기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국내 치매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