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이영희 교수
이영희 연구실은 신경해부학과 대사조절기능 해부학을 기반으로, 뇌 신경회로가 섭식 행동과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외측시상하부 등 뇌의 주요 영역에서 신경세포 집단이 음식 탐색 및 섭취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렙틴 수용체 신경세포와 신경펩타이드 Y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첨단 신경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음식에 대한 동기(욕구)와 실제 행동(섭식)이 뇌 내에서 별도의 신경회로에 의해 조절됨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만, 섭식장애 등 대사질환의 신경생물학적 원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신경회로의 세부적 구조와 기능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중추신경계에서 대사조절에 관여하는 다양한 신경펩타이드(GLP-1, GIP, 옥시토신 등)와 호르몬의 작용 메커니즘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가 식욕, 체중,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동물 실험을 통해 검증하며, 신경회로 활성 변화와 대사 개선 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합니다. 특히, GLP-1과 옥시토신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개발에 있어 복합적 신경회로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인지행동치료(CBT)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비만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적 효과 검증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경과학적 기초 연구와 임상적 응용 연구를 융합하여, 실질적인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영희 연구실은 신경해부학, 대사조절, 행동신경과학, 임상중개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뇌-행동-대사 연계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경회로의 구조적·기능적 특성 규명과 이를 기반으로 한 대사질환 치료 전략 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할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