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모 연구실
약학대학 양영모
양영모 연구실은 임상약학을 기반으로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와 약물 안전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패턴, 약물 상호작용, 부작용 및 치료 효과를 분석하여,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약물요법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특히, 고령 환자 및 만성질환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다약제 복용과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처방 문제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환자 안전과 약물치료의 질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국가 단위의 건강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인 성인에서의 약물치료 패턴, 만성질환 유병률, 신체 기능 및 생화학적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실태와 건강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근거 기반의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처방약 및 일반의약품 사용 실태, 약물 부작용 인식도, 약물 복용 순응도 등 국민의 약물 사용 행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류마티스 관절염,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 간질환 등 다양한 질환군에서의 약물치료 관리와 효과 평가, 약물-약물 상호작용 분석, 신약 및 기존 약물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등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의 약사 역할 강화와 환자 중심의 약료 서비스 제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병원-지역약국 간 협력 모델 개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임상약학 교육 등 실제 의료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혁신적 접근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치료의 질적 향상과 환자 안전 증진, 그리고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실질적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양영모 연구실은 앞으로도 임상약학 분야에서의 데이터 기반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실제 임상 및 공공보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여,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Rheumatoid Arthritis
Osteoporosis
Pharmacotherapy Management
임상약학 기반의 약물치료 최적화 연구
임상약학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질병 상태에 맞는 최적의 약물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학문입니다. 양영모 연구실은 다양한 만성질환 및 급성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패턴, 약물 상호작용, 부작용 발생 및 치료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약물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약물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다약제 복용(polypharmacy)과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처방(PIMs)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제 기준(예: Beers Criteria)과 국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약물 처방 경향과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환자 안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 간질환 등 특정 질환군에서의 약물치료 관리와 효과 평가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의 약사 역할 강화와 환자 중심의 약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병원-지역약국 간 협력 모델 개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임상약학 교육 등 실제 의료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혁신적 접근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가 건강 빅데이터를 활용한 약물치료 및 건강영향 분석
양영모 연구실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등 국가 단위의 대규모 건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 성인에서의 약물치료 패턴, 만성질환의 유병률, 신체 기능 및 생화학적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실태와 건강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근거 기반의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과 신장기능, 근력,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등 다양한 건강지표 간의 연관성을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등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합니다. 또한, 처방약 및 일반의약품(OTC) 사용 실태, 약물 부작용 인식도, 약물 복용 순응도 등 실제 국민의 약물 사용 행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약물 안전성 확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임상약학 분야에서의 데이터 기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임상 및 공공보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Association between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renal function in Korean adults: A sex-specific analysis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to 2018 data
양영모
MEDICINE, 202408
2
Assessing medication use patterns among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t a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in South Korea: A retrospective study
양영모
MEDICINE, 202408
3
Effects of C-Peptide on Dexamethasone-Induced In Vitro and In Vivo Models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Muscle Atrophy
양영모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10
1
류마티스 관절염 약물 치료 관리 향상을 위한 병원-지역약국 간 환자 관리 협력 모델 개발 기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