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임상약학 기반의 약물치료 최적화 연구

임상약학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질병 상태에 맞는 최적의 약물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학문입니다. 양영모 연구실은 다양한 만성질환 및 급성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패턴, 약물 상호작용, 부작용 발생 및 치료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약물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약물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다약제 복용(polypharmacy)과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처방(PIMs)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제 기준(예: Beers Criteria)과 국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약물 처방 경향과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환자 안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 간질환 등 특정 질환군에서의 약물치료 관리와 효과 평가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의 약사 역할 강화와 환자 중심의 약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병원-지역약국 간 협력 모델 개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임상약학 교육 등 실제 의료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혁신적 접근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

국가 건강 빅데이터를 활용한 약물치료 및 건강영향 분석

양영모 연구실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등 국가 단위의 대규모 건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 성인에서의 약물치료 패턴, 만성질환의 유병률, 신체 기능 및 생화학적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약물 사용 실태와 건강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근거 기반의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과 신장기능, 근력,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등 다양한 건강지표 간의 연관성을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등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합니다. 또한, 처방약 및 일반의약품(OTC) 사용 실태, 약물 부작용 인식도, 약물 복용 순응도 등 실제 국민의 약물 사용 행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약물 안전성 확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임상약학 분야에서의 데이터 기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임상 및 공공보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