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안영호 연구실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안영호 교수

Wastewater Treatment

Photocatalysis

Constructed Wetlands

안영호 연구실

건설시스템공학과 안영호

안영호 연구실은 건설시스템공학과 소속으로, 수질오염 제어와 고도 수처리 기술, 에너지 및 자원 회수형 하·폐수 처리공정, 그리고 나노소재 및 기능성 분리막 개발 등 환경공학의 핵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효과적 제거와 자원화, 에너지 생산을 목표로, 첨단 나노기술과 생물학적·화학적 처리공정을 융합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촉매, 초음파, 천연 살생물제, 감광제 기반 고도산화, 박테리오파지 활용 등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항생제 내성균, 미세플라스틱, 난분해성 유기물 등 기존 처리공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오염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나노소재와 고분자 분리막을 융합한 고효율 한외여과막, 자가세척 기능성 분리막 등 막오염 저감 및 장기적 운전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하·폐수 처리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회수하는 혁신적인 공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생물 연료전지, 혐기성 소화, 고도 발효 및 산발효 공정 등 다양한 생물학적·화학적 처리기술을 융합하여, 하·폐수로부터 바이오에너지(수소, 바이오가스 등)와 유용 자원(영양염류, 유기산 등)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저에너지·저탄소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나노소재 및 기능성 분리막 개발 분야에서도 연구실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금속산화물, MXene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분리막을 설계하고, 이들의 표면 개질 및 복합화 기술을 통해 막오염 저감, 항균성, 투수성 향상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수처리, 폐수재이용, 해수담수화,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환경·에너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연구, 특허 출원, 논문 발표 등 활발한 학술 및 기술 활동을 통해 환경공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을 위한 첨단 환경기술 개발에 매진할 계획입니다.

Wastewater Treatment
Photocatalysis
Constructed Wetlands
수질오염 제어 및 고도 수처리 기술
안영호 연구실은 수질오염 제어와 고도 수처리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광촉매, 초음파, 나노복합소재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수처리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폐수, 생활하수, 농업폐수 등 다양한 수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맞춤형 처리 기술을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천연 살생물제, 감광제 기반 고도산화, 박테리오파지 활용 등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항생제 내성균, 미세플라스틱, 난분해성 유기물 등 기존 처리공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오염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나노소재와 고분자 분리막을 융합한 고효율 한외여과막, 자가세척 기능성 분리막 등 막오염 저감 및 장기적 운전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상하수도 및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수질 개선과 자원 회수, 에너지 절감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실용성을 높이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 발표를 통해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및 자원 회수형 하·폐수 처리공정
연구실은 하·폐수 처리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회수하는 혁신적인 공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생물 연료전지(MFC), 혐기성 소화, 고도 발효 및 산발효 공정 등 다양한 생물학적·화학적 처리기술을 융합하여, 하·폐수로부터 바이오에너지(수소, 바이오가스 등)와 유용 자원(영양염류, 유기산 등)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미생물 연료전지 기술은 하수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와 동시에 전기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여, 에너지 자립형 수처리 시스템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혐기성 입상슬러지, 고효율 UASB 반응조, 다양한 나노복합 촉매를 활용한 전기화학적 수소 생산 등 다양한 공정의 최적화와 융합을 통해 에너지 회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저에너지·저탄소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에너지 회수와 더불어 슬러지 감량, 영양염류 회수, 자원화 등 자원순환형 처리공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 및 기능성 분리막 개발
안영호 연구실은 나노소재와 기능성 분리막을 활용한 첨단 환경공학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금속산화물, MXene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분리막을 설계하고, 이들의 표면 개질 및 복합화 기술을 통해 막오염 저감, 항균성, 투수성 향상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술폰화된 무기입자, 유기화합물, 나노복합체를 활용한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전기화학적 분리막 등은 기존 상용막 대비 높은 내구성과 선택성을 자랑합니다. 또한, 자가세척 기능, 항균·항바이러스 기능, 고효율 오염물질 제거 등 차세대 분리막 기술을 통해 수처리, 폐수재이용, 해수담수화,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환경·에너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나노소재 및 분리막 기술의 상용화와 현장 적용을 위해 국내외 산학연 협력,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공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Modern screen-printed carbon electrodes modified with multilayered double transition metals carbides (MXenes) for Ascorbic Acid Detection in Urine and sweat samples
M. Ajithkumar, B. Subash, Surya Chinnasamy, Cittrarasu Vetrivel, 마니두라이, Daochen Zhu, Mathivanan Durai, Shivakumara K N, Ayman A. Ghfar, 안영호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2025
2
Reduced graphene oxide loaded sulfated titania mediat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eactive Red 120 dye under UV-A and solar light
V. Pandiyan, 안영호, Krishnakumar Balu, T. Abisheik, Wahid Ali, Mohammad Ehtisham Khan, Syed Kashif Ali, Wakeel Ahmad, Abdullateef H. Bashri
SPECTROCHIMICA ACTA PART A-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2025
3
Pd-TiO2/ZnFe2O4 photocatalyst fo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iprofloxacin under solar light irradiation
안영호, Krishnakumar Balu, Perwez Alam, Siranjeevi Ravichandran, Thirunarayanan Ganesamoorthy, Mani Durai, Mathivanan Durai, Shalini Anbazhagan, Muthuvel Inbasekaran, Suppuraj Palusamy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2025
1
천연 살생물제가 결합된 나노복합 신소재 기반 고도 광촉매 산화 기술개발
(재)한국연구재단(NRF)
2025년 03월 ~ 2025년 05월
2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유해 남세균 생물방제기술 개발
(재)한국연구재단(NRF)
2020년 03월 ~ 2020년 05월
3
나노복합소재-바이오 융복합기술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용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막오염 저감기술개발
(재)한국연구재단(NRF)
2016년 05월 ~ 2017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