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수질오염 제어 및 고도 수처리 기술
안영호 연구실은 수질오염 제어와 고도 수처리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광촉매, 초음파, 나노복합소재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수처리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폐수, 생활하수, 농업폐수 등 다양한 수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맞춤형 처리 기술을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천연 살생물제, 감광제 기반 고도산화, 박테리오파지 활용 등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항생제 내성균, 미세플라스틱, 난분해성 유기물 등 기존 처리공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오염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나노소재와 고분자 분리막을 융합한 고효율 한외여과막, 자가세척 기능성 분리막 등 막오염 저감 및 장기적 운전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상하수도 및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수질 개선과 자원 회수, 에너지 절감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실용성을 높이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 발표를 통해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습니다.
2
에너지 및 자원 회수형 하·폐수 처리공정
연구실은 하·폐수 처리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회수하는 혁신적인 공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생물 연료전지(MFC), 혐기성 소화, 고도 발효 및 산발효 공정 등 다양한 생물학적·화학적 처리기술을 융합하여, 하·폐수로부터 바이오에너지(수소, 바이오가스 등)와 유용 자원(영양염류, 유기산 등)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미생물 연료전지 기술은 하수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와 동시에 전기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여, 에너지 자립형 수처리 시스템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혐기성 입상슬러지, 고효율 UASB 반응조, 다양한 나노복합 촉매를 활용한 전기화학적 수소 생산 등 다양한 공정의 최적화와 융합을 통해 에너지 회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저에너지·저탄소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에너지 회수와 더불어 슬러지 감량, 영양염류 회수, 자원화 등 자원순환형 처리공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나노소재 및 기능성 분리막 개발
안영호 연구실은 나노소재와 기능성 분리막을 활용한 첨단 환경공학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금속산화물, MXene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분리막을 설계하고, 이들의 표면 개질 및 복합화 기술을 통해 막오염 저감, 항균성, 투수성 향상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술폰화된 무기입자, 유기화합물, 나노복합체를 활용한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전기화학적 분리막 등은 기존 상용막 대비 높은 내구성과 선택성을 자랑합니다. 또한, 자가세척 기능, 항균·항바이러스 기능, 고효율 오염물질 제거 등 차세대 분리막 기술을 통해 수처리, 폐수재이용, 해수담수화,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환경·에너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나노소재 및 분리막 기술의 상용화와 현장 적용을 위해 국내외 산학연 협력,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공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