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종태 연구실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박종태 교수

V3_minor

박종태 연구실

식품공학과 박종태

박종태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 및 미생물 효소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미생물 및 효소를 활용한 식품 소재의 기능성 증진, 품질 개선,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다양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성 및 내열성 효소의 발굴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식품 가공 공정의 효율화와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식품생물공학, 미생물 효소공학,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생리활성 물질의 전달 시스템, 식품 품질 및 안전성 분석, 식품 원산지 판별 기술 등으로 매우 다양합니다. 최근에는 이노토디올, 진세노사이드, 트리테르페노이드 등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분석, 효소 변환 및 나노에멀전, 캡슐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전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산화, 면역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식의약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코, 질량분석기, 분광기 등 첨단 분석 장비와 다변량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김치, 배추, 무, 블루베리 등 다양한 식품 및 농산물의 품질 평가, 원산지 판별, 기능성 성분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 위조 방지, 소비자 신뢰도 제고, 식품 산업의 투명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저장 및 가공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 미생물 안전성, 영양성분 변화 등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 논문, 기술이전 및 산학협력 연구를 통해 학문적 성과와 산업적 파급력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식품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박종태 교수와 연구진은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식품공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 및 식의약 소재의 산업화, 맞춤형 건강관리, 친환경 바이오 소재 개발 등 미래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식품공학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박종태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의 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하는 연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식품생물공학 및 미생물 효소공학
식품생물공학은 식품의 생산, 가공, 저장, 안전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해 생명공학적 기술과 미생물, 효소를 활용하는 학문입니다. 본 연구실은 미생물 효소공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식품 소재의 기능성 증진, 품질 개선,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생물에서 유래한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 다당류, 올리고당 등 다양한 탄수화물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합성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온성, 내열성, 특이적 기질 특성을 가진 신규 효소의 발굴 및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효소 생산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효소들은 식품 가공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기존 식품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 아밀라아제, 브랜칭 엔자임 등 다양한 효소를 이용한 전분 및 다당류의 구조 변환, 기능성 당류의 합성, 그리고 이들의 산업적 응용에 관한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이와 더불어, 효소를 이용한 식품 내 유해물질 저감,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 식품의 저장성 및 기호성 향상 등 실용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산업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바이오의약, 친환경 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국내외 특허 및 기술이전, 산업체 협력 연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및 생리활성 물질 전달 시스템
본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과 이들의 생체 내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예: 이노토디올, 진세노사이드,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분리, 정제, 구조 분석 및 이들의 생리활성 평가가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특히,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산화, 면역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식물성 소재의 탐색과 기능성 증진을 위한 효소 변환, 미생물 발효, 나노에멀전, 캡슐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생리활성 물질의 체내 흡수율(생체이용률) 향상 및 표적 전달을 위한 나노입자, 복합체, 에멀전, 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 등 다양한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노토디올의 γ-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화, 나노에멀전화, 말토헵타오스-팔미트산 에스터를 이용한 제형 최적화 연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물 모델 및 세포 실험을 통해 개발된 소재의 항염증, 항알레르기, 면역조절,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 대사체 분석 등 융합적 접근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식의약 소재의 산업화, 맞춤형 건강관리, 미래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식품 품질 및 안전성 분석, 식품 원산지 판별 기술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는 현대 식품공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 및 농산물의 품질 평가, 기능성 성분 분석, 저장 및 가공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코, 질량분석기, 분광기 등 첨단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김치, 배추, 무, 블루베리 등 다양한 식품의 원산지 판별, 품질 특성, 기능성 성분(예: 글루코시놀레이트,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등) 함량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원산지 판별 연구에서는 전자코와 다변량 통계분석을 접목하여 한국산과 중국산 김치, 배추, 무 등 주요 농산물의 휘발성 성분 패턴을 비교하고, 신뢰성 높은 판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식품의 위조 방지, 소비자 신뢰도 제고, 식품 산업의 투명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장 온도, 가공 조건, 유통 환경에 따른 품질 변화, 미생물 안전성, 영양성분 변화 등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식품 가공 부산물의 기능성 소재화, 신선 농산물의 저장성 향상, 고기능성 품종 개발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통해 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1
Liver-X receptor β-selective agonist CE9A215 regulates Alzheimer`s disease-associated pathology in a 3xTg-AD mouse model
김재한, 반소영, Nguyen Thi Hong, 박종태
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202502
2
Enzymati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lipophilic inotodiol-oleic acid conjugates
박종태
Food Chemistry, 202412
3
Developme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ccumulating excessive amount of glycogen and its effects on gut microbiota in a mouse model
박종태, 반소영, 윤다영, 염수진, 정희곤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202412
1
염증성 장질환 개선 식의약 소재 및 정밀 전달체 개발 연구실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포도당중합체 효소합성기술에 기반한 당 에스테르의 합성 및 생리활성물질 전달에의 이용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대전 푸드테크 산업 육성방안 수립 용역
재단법인 대전테크노파크
2024년 01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