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GeoMaterials & GeoCharacterization
(KU GeoMC Group)
사회환경공학부 구태서
KU GeoMaterials & GeoCharacterization (KU GeoMC Group) 연구실은 사회환경공학부 소속으로, 고급 지구물리학적 부지 특성화와 비침습적 천부 지구물리학적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표파 기법(MASW, MAM, FWI, HVSR)을 활용한 비침습적 지구물리학 연구와 지속 가능한 지재료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근 3년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주요 연구 성과로는 싱가포르에서의 HVSR을 이용한 퇴적층 두께 및 평균 Vs 예측, 시멘트 처리된 연약 점토의 등방 및 이방 응력 상태에서의 연속 Gmax 측정을 통한 항복 평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지진 단면 탐사법을 활용한 천부 부지 조사와 혁신적인 시멘트 재료의 사용을 통한 실험실 규모의 모델링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Sustainable Geo-materials
Seismic Cross-hole Tomography
Advanced Geophysical Site Characterization
지속 가능한 지반 재료 및 개선 연구
KU GeoMaterials & GeoCharacterization 연구 그룹은 지속 가능한 지반 재료 및 개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 그룹은 새로운 시멘트 재료의 혁신적인 사용과 실험실 규모의 모델링을 통해 지반 특성화를 연구합니다. 구체적으로, 시멘트-혼합 점토의 강도에 미치는 모래의 영향을 조사하며, 다양한 지반 재료의 전기전도도를 특성화하는 방법론을 개발합니다. 또한, 시멘트 처리된 연약 점토의 항복 거동을 평가하고, 반복 하중 조건에서 입자 수준의 분석을 통해 시멘트-모래의 파괴 강도를 상관관계지으려는 노력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 가능한 지반 공학적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비파괴 지반 조사 및 지구물리학적 기법 연구
KU GeoMaterials & GeoCharacterization 연구 그룹은 비파괴 지반 조사 및 지구물리학적 기법 연구를 통해 지반 특성화를 진행합니다. 연구 그룹은 표면파 기술(MASW, MAM, FWI, HVSR)을 활용한 지반 조사 방법론을 개선하며, 지진파 기반의 지반 특성 평가 방법을 개발합니다. 특히, 싱가포르 지역을 대상으로 한 HVSR 데이터를 이용한 지진파 분석을 통해 지진파의 반사 효과 및 현장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지반 내 장애물 탐지를 위한 지반공학적 및 지구물리학적 조사 통합 연구, 지반의 평균 Vs 예측 및 침전 두께 평가 방법론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반조사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파괴적이고 정밀한 지반 조사 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지반 공학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Yielding evaluation of cement-treated soft clay under isotropic and anisotropic stress states using continuous Gmax measurements
Acta Geotechnica, 2023
2
Wave Reflection Effects on Bender Element Test of Very Stiff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2023
3
Incorporating geotechnical and geophysical investigations for underground obstruction detection: A case study
UNDERGROUND SPA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