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HAI-Lab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송하연 교수

Voice Agents

Elderly Technology Accessibility

AI in Education

HAI-Lab

글로벌융합학부 송하연

HAI-Lab(휴먼-인공지능 상호작용 연구실)은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및 인공지능응용학과에 소속된 연구 그룹으로,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 가상 에이전트 등 신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본 연구실은 인간이 인공지능, 로봇, 소셜미디어,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신매체와 소통할 때의 심리적·행동적 변화, 신뢰 형성 및 회복, 사용자 경험(UX) 향상 등 다양한 주제를 실증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융합을 통해 건강 증진, 웰빙, 교육, 금융 등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태도 및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치료기기(DTx), 가상 에이전트, 게임, 모바일 앱 등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건강 행동 변화, 스트레스 관리, 금연, 운동 습관 형성 등 실제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시지 프레이밍, 피드백 방식,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설계 등 다양한 설득 전략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 커뮤니케이션 전략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HAI-Lab은 미디어 심리학과 사회적 존재감 이론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가상현실, 게임,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의 감정, 동기,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노출, 사회적 비교 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연결성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 설문조사,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설계와 사용자 경험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노년층, 만성질환자, 저소득층 등 다양한 사회적 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정보 격차 해소와 건강 형평성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HAI-Lab은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이 보다 자연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기술 수용성을 높이고, 다양한 사회적·교육적·의료적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긍정적 역할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건강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Voice Agents
Elderly Technology Accessibility
AI in Education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Human-AI Interaction)
HAI-Lab은 인간과 인공지능(AI) 및 로봇, 가상 에이전트 등 신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본 연구실은 사용자가 인공지능, 로봇, 소셜미디어,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신매체와 소통할 때 느끼는 감정, 인지, 행동 변화를 탐구합니다. 특히, 인공지능이 인간의 신뢰를 어떻게 얻고, 신뢰가 손상되었을 때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음성 에이전트가 사용자에게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위해 어떤 언어적·비언어적 전략을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과 설문조사 등 다양한 실증적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설계와 사용자 경험(UX)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노년층이 핀테크, 모바일 뱅킹 등 신기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화형 AI 에이전트의 음성 및 시각적 피드백 방식을 최적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 내에서의 정보 전달, 감정 인식 및 피드백, 신뢰 회복 전략 등 실제 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여 연구합니다. 이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이 보다 자연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기술 수용성을 증진시키며, 다양한 사회적·교육적·의료적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긍정적 역할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및 설득 기술(Health Communication & Persuasive Technology)
HAI-Lab은 건강 증진과 웰빙을 위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및 설득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 가상 에이전트, 게임, 모바일 앱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건강 행동 변화와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치료기기(DTx)와 가상 에이전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행동을 촉진하고, 스트레스 관리, 금연, 운동 습관 형성 등 다양한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메시지 프레이밍, 피드백 방식,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설계 등 다양한 설득 전략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합니다. 또한, 노년층, 만성질환자, 저소득층 등 다양한 사회적 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건강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여, 정보 격차 해소와 건강 형평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 예술치료 시스템, 음성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감정 기록, 모바일 뱅킹에서의 대화형 에이전트 등 혁신적인 헬스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 정보의 신뢰성, 사용자 경험, 행동 변화의 지속성 등 실질적인 사회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과 웰빙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건강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심리학 및 사회적 존재감(Media Psychology & Social Presence)
HAI-Lab은 미디어 심리학과 사회적 존재감 이론을 바탕으로, 신매체 환경에서 인간의 심리적·사회적 경험을 탐구합니다. 본 연구실은 소셜미디어, 가상현실(VR), 게임,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의 감정, 동기,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노출, 사회적 비교 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적 비교와 자기노출이 심리적 웰빙, 자존감, 피로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온라인 교육에서 교사의 자기노출과 사회적 존재감이 학습 만족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도 다룹니다. 또한, 가상 에이전트나 인공지능과의 상호작용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사회적 존재감, 신뢰, 친밀감, 몰입감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측정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반 치료, 감정 공유, 팬-셀럽 간의 파라소셜 관계, 디지털 환경에서의 문화적 차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사회적 존재감이 미디어 경험의 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연결성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나아가, 미래의 미디어 및 교육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ealth communication
Song, H. Y., Kim, J. E., Kim, T. 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2020
2
PracticeDAPR: An AI-based Education-Supported System for Art Therapy
Kang, Jiwon, Kim, Jiwon, Kim, Taeeun, Park, Chaehee, Yang, Migyeong, 송하연, 한진영
Proceedings of the ACM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202505
3
Developing an AI-based Explainable Expert Support System for Art Therapy
Kang, Jiwon, Kim, Jiwon, Kim, Taeeun, Park, Chaehee, Yang, Migyeong, 송하연, 한진영
ACM TRANSACTIONS ON INTERACTIVE INTELLIGENT SYSTEMS, 202412
1
[BK21]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교육연구단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e나라도움/협약액]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인공지능)
교육부 한국연구재단[E나라도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ICT서비스 기획 인력 양성을 위한 사용자 중심 인공지능 교육과정 운영사업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통합EZBARO_A002]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