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창규 연구실

경희대학교 의학과

박창규 교수

박창규 연구실

의학과 박창규

박창규 연구실은 신경외과 분야에서 뇌정위 수술 및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삼차신경통, 안면경련, 뇌종양, 동정맥기형, 청신경초종 등 복잡한 뇌질환에 대해 비침습적이면서도 정밀한 치료법을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은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병변 부위만을 표적화할 수 있어, 수술이 어려운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삼차신경통 및 안면통증 환자에 대한 미세혈관감압술, 신경차단술,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등 다양한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장기간 추적 관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을 위한 2차 수술, 부분 감각 신경절제술 등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의 임상적 표준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대회와 저명 학술지에 다수 발표되어 신경외과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능적 신경외과 영역에서는 파킨슨병, 본태성 진전, 간질 등 난치성 신경계 질환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유도 집속초음파, 뇌심부자극술 등 첨단 치료법을 도입하여 환자의 운동 기능 및 삶의 질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더불어, 신경영상 기반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진단의 정확도와 수술 계획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사선 노출 최소화 및 영상 품질 향상 등 영상의학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다학제적 진료 체계를 구축하여, 진단에서 치료, 수술 후 관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며, 의료진과 환자 모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임상 연구와 학술 활동을 통해 신경외과 분야의 최신 지견을 국내외에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박창규 연구실은 앞으로도 신경외과 및 기능적 신경외과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과 임상 적용을 선도하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뇌정위 신경외과 및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뇌정위 신경외과는 뇌의 특정 부위를 정밀하게 표적화하여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첨단 의학 분야입니다. 박창규 연구실은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Gamma Knife Radiosurgery, GKRS)과 같은 비침습적 치료법을 활용하여 뇌종양, 뇌동정맥기형, 삼차신경통, 청신경초종, 수두증 등 다양한 뇌 질환의 치료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감마나이프는 고도의 정밀도를 자랑하며, 정상 뇌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병변 부위에만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어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고 합병증 발생률을 낮추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장기간 추적 관찰을 통해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아 및 성인 환자에서 동정맥기형(AVM), 뇌종양, 뇌수막종, 청신경초종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병변의 크기, 위치, 혈관 구조 등 환자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재발 위험 인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 환자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군에서도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치료 후 삶의 질 개선, 장기 생존율, 신경학적 기능 보존 등 다양한 임상적 지표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박창규 연구실은 국내외 신경외과 분야에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임상적 표준을 확립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삼차신경통 및 안면통증의 진단과 수술적 치료
삼차신경통은 극심한 안면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신경계 질환으로, 환자의 일상생활과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박창규 연구실은 삼차신경통의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미세혈관감압술(Microvascular Decompression, MVD),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신경차단술 등 다양한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법을 환자 상태에 맞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삼차신경통의 원인 분석을 위해 자기공명영상(MRI), 혈관조영술 등 첨단 영상기법을 활용하여 신경과 혈관의 충돌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또한, 기존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2차 수술, 부분 감각 신경절제술, 신경용해술 등 다양한 수술적 접근법의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재발률 감소와 장기 통증 조절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 환자나 만성 질환 동반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최소침습적 치료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삼차신경통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과 치료 후 장기 추적관찰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박창규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삼차신경통의 최신 치료 트렌드와 임상 경험을 공유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과 신경통증 관리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능적 신경외과 및 신경영상 기반 인공지능 활용
박창규 연구실은 기능적 신경외과 영역에서 파킨슨병, 본태성 진전, 간질 등 다양한 신경계 기능장애 질환의 치료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기공명영상 유도 집속초음파(MRgFUS),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미세혈관감압술 등 첨단 수술기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운동 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신경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RI 기반의 딥러닝 초해상도 기술을 활용하여 삼차신경통 환자의 진단 및 수술 계획의 정확도를 높이고,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X-ray 자동 노출 제어(AEC) 시스템의 최적화, 방사선 위험도 분석, 영상 품질 평가 등 영상의학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박창규 연구실은 신경외과 임상 현장에서 인공지능 기반 영상 분석 및 진단 보조 시스템의 실용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후 예측, 수술 안전성 향상, 의료진의 진단 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임상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1
Deep Learning Super-Resolution Technique Bas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Application of Image-Guided Diagnosis and Surgery of Trigeminal Neuralgia
Hwang, Jun Ho, 박창규, Kang, Seok Bin, 최만규, Lee, Won Hee
LIFE-BASEL, 2024
2
Direct C1 posterior arch screws for reduction and osteosynthesis in the treatment of Jefferson fracture
박창규, 최만규
ACTA NEUROCHIRURGICA, 2024
3
Clinical Application of Botulinum Toxin for Hemifacial Spasm
박창규, Lim, Seung-Hoon, Park, Kwan
LIFE-BASEL, 2023
1
[생애 첫 연구, 1/2] 정상압 수두등 환자의 예후평가를 위한 뇌척수액내 아포지질단백질(E)의 정량적 분석
한국연구재단(학술진흥)
2019년 03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