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권성훈 연구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Bio-interface

Spatial Omics

DNA Data Storage

권성훈 연구실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권성훈 연구실은 전기·정보공학부를 기반으로 바이오칩,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공간 오믹스, 인공지능, 면역 레퍼토리 분석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생명현상의 복잡성을 정밀하게 해석하고, 차세대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암, 신경퇴행성 질환, 감염병 등 다양한 질환에서 조직 내 세포의 유전적·전사체적·후성유전적 이질성과 면역계의 동적 변화를 공간적으로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 기반의 세포 분리, 바코드화된 마이크로입자, 고해상도 이미징,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결합한 공간 오믹스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여, 암 조직 및 신경질환 조직 내 세포 간 상호작용과 미세환경의 이질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암 조직 내 이질성, 암 줄기세포의 미세환경, 면역세포의 공간적 분포와 기능적 특성 등을 규명하는 데 활용되며, 실제 임상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 레퍼토리 분석에 딥러닝과 그래프 신경망 등 인공지능 기법을 접목하여, 감염병, 자가면역질환, 암, 신경퇴행성 질환 등에서 면역계의 다양성과 기능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합니다. 자체 개발한 BCR-SORT, GRIP 등 모델을 통해 면역 레퍼토리 데이터로부터 세포 아형 예측, 계통발생적 구조 분석,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등 다양한 임상적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DNA 데이터 저장, 고정밀 유전자 합성, 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바이오센서, 항체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등 바이오·의료 분야의 다양한 혁신적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내외 대형 국책과제와 임상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임상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권성훈 연구실은 융합적 사고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생명현상에 대한 근본적 이해와 함께 실제 환자 진단·치료에 기여하는 실용적 연구를 지향합니다. 앞으로도 공간 오믹스, 인공지능, 면역 레퍼토리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며, 차세대 정밀의료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Bio-interface
Spatial Omics
DNA Data Storage
공간 오믹스 및 병리학적 분석을 위한 첨단 바이오칩 기술
권성훈 연구실은 공간 오믹스(Spatial Omics)와 병리학적 분석을 위한 첨단 바이오칩 및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레이저 기반의 세포 분리 기술, 바코드화된 마이크로입자, 고해상도 이미징,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조직 내 세포의 유전적, 전사체적, 후성유전적 정보를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암 조직, 신경질환 조직 등 다양한 생체 시료에서 세포 간 상호작용과 미세환경의 이질성을 정밀하게 규명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연구실은 PHLI-seq, Select-seq, bMDA 등 자체 개발한 기술을 통해 조직 내 특정 세포 집단을 고해상도로 분리하고, 이들의 유전체 및 전사체 정보를 획득합니다. 이를 통해 암 조직 내 이질성, 암 줄기세포의 미세환경, 면역세포의 공간적 분포와 기능적 특성 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간 오믹스 데이터와 병리 슬라이드 이미지를 그래프 신경망 등 인공지능 기법과 융합하여,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과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정밀의료, 암 진단 및 예후 예측,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태생리 규명 등 다양한 임상적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권성훈 연구실의 공간 오믹스 및 병리학적 분석 기술은 국내외 다수의 협력 연구와 대형 국책과제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기술 상용화 및 플랫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면역 레퍼토리 분석 및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권성훈 연구실은 인간 면역계의 복잡성과 질병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Immune Repertoire) 분석에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접목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과 딥러닝 기반의 데이터 해석을 결합하여, 다양한 감염병, 자가면역질환, 암, 신경퇴행성 질환 등에서 면역세포의 다양성과 기능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대표적으로, BCR-SORT, GRIP 등 자체 개발한 딥러닝 모델을 통해 B세포 수용체 서열로부터 세포 아형을 예측하거나, 면역 레퍼토리의 계통발생적 구조와 진화적 경로를 재구성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COVID-19 백신 접종자, 알츠하이머병 환자, 암 환자 등 다양한 임상 집단에서 면역 반응의 개인차, 질병 진행과의 연관성,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등을 발굴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래프 신경망과 트랜스포머 기반의 임베딩 기법을 적용하여, 대규모 면역 레퍼토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임상적으로 해석 가능한 결과를 도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맞춤형 백신 및 면역치료제 개발, 질병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신약 타겟 발굴 등 다양한 바이오헬스 분야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권성훈 연구실은 국내외 다수의 임상기관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실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면역 레퍼토리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의 실용화와 임상 적용을 목표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1
Identification of B cell subsets based on antigen receptor sequences using deep learning
권성훈, Lee Hyunho, Shin Kyoungseob, Lee Yongju, Lee Soobin, Lee Seungyoun, Lee Eunjae, Kim Seung Woo, Shin Ha Young, Kim Jong Hoon, Chung Junho
Frontiers in Immunology, 202403
2
Mapping cancer biology in space: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on spatial omics for oncology
권성훈, Lee Sumin, Kim Gyeongjun, Lee Jinyoung, Lee Amos C.
MOLECULAR CANCER, 202401
3
Highly Accurate Sequence- and Position-Independent Error Profiling of DNA Synthesis and Sequencing
Lee Amos Chungwon, Kim Jinhyun, Kim Hamin, Choi Hansol, Song Seo Woo, Choi Yeongjae, 권성훈, Yeom Huiran, Kim Namphil
ACS SYNTHETIC BIOLOGY, 202311
1
그래프 딥러닝 기반 디지털 병리와 레이저 기반 다중오믹스의 융합을 통한 차세대 바이오마커 발굴 플랫폼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차세대 헬스케어를 위한 디지털 면역 프로세싱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차세대 헬스케어를 위한 Digital Immune Processing (DIP)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03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