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반도체공학과 김수진 교수
김수진 연구실은 나노포토닉스, 메타표면, 반도체 소자 등 첨단 나노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광소자 및 센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나노 구조체를 설계·제작하여, 빛의 위상, 편광, 파장, 세기 등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메타표면 및 나노소자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초박막 렌즈, 고해상도 이미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빔 스티어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광소자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능동적으로 빛을 제어할 수 있는 전기적·광학적 변조 메타표면, 비국소 공진 기반의 카이랄 센서, 고감도 포토디텍터, 반구형 이미지 센서 등 차세대 광센서 및 이미지 센서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IoT, 자율주행, 바이오 진단, 스마트 디스플레이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으며, 연구실은 소재 개발부터 소자 설계, 집적화, 시스템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에너지 하베스팅 및 광-열 변환을 위한 나노소자 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근영점 굴절률(NZI) 소재를 활용한 열 방출 제어, 미에 공명 및 플라즈모닉 공명을 이용한 빛 흡수 극대화, 초박막 메타필름 기반의 광-열 변환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에너지 효율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특허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세계적인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수한 대학원생 및 연구진을 양성하며, 차세대 광학 및 나노소자 분야의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김수진 연구실은 앞으로도 나노광학, 메타표면, 반도체 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광학 및 에너지 기술의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