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종대 연구실
의과대(임상교실) 지종대
지종대 연구실은 류마티스내과를 중심으로 면역학, 골대사,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만성 염증성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등에서의 면역 조절 기전과 골 파괴 억제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의 주요 축은 B7-H3, TREM-1/2,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 mTOR 신호전달 등 다양한 면역 체크포인트 및 신호전달 경로가 염증 및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의 골 파괴 억제 및 새로운 치료 타깃 발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B7-H3의 면역조절 및 골대사 조절 기능, TREM-1의 음성 조절 역할, mTOR 억제제와 비타민 D3의 병용 효과 등 다수의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유전체 연관 연구(GWAS), 메타분석,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전사체 분석 등 첨단 오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류마티스 질환의 유전적 감수성, 분자적 병태생리, 바이오마커 발굴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전자 다형성(IL-6, IL-10, TNF-α, STAT4, PADI4, FCGR 등)과 microRNA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제 환자 샘플을 기반으로 한 임상-기초 융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 다양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국내외 학계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다수의 SCI 논문 발표, 학술상 수상, 국제 학회 발표 등 활발한 학술 활동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종대 연구실은 면역 조절 및 골대사 연구를 기반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 및 암에서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 정밀의료 실현, 바이오마커 발굴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계획입니다.
B7-H3와 면역 조절 및 골 파괴 기전 연구
B7-H3는 B7 패밀리의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로, 최근 다양한 악성 종양 및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B7-H3가 종양 미세환경에서 인터페론-STAT1 축을 조절하고,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분극 및 면역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B7-H3가 암 줄기세포와 대식세포의 이형 융합을 촉진하여 종양 침윤 및 전이에 기여하는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면역 치료 타깃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B7-H3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B7-H3가 인간 파골세포 분화에 관여하며, type I 인터페론-IDO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 등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의 골 파괴 억제 및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B7-H3의 면역 조절 기능과 골 파괴 기전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만성 염증성 질환 및 암에서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이론적·실용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B7-H3를 표적으로 한 면역 치료제 및 골 파괴 억제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파골세포 분화 및 골 파괴 조절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인간 파골세포 분화의 분자적 조절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파골세포는 골 흡수와 파괴를 담당하는 주요 세포로,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성 골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병리적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mTOR 신호전달, TGF-β 신호전달,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 경로 등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가 파골세포 분화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1,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3, 폴리감마글루탐산, TREM-1/2, Toll-like receptor(TLR) 등 다양한 내인성 및 외인성 인자가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억제 또는 촉진 효과를 분석하여, 골 파괴 억제에 효과적인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발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와 관련된 핵심 유전자 및 조절 인자를 도출하고, 이들의 기능적 역할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의 골 파괴 억제 및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실제로 mTOR 억제제와 비타민 D3의 병용 요법, TREM-1의 음성 조절 기능 등 다양한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파골세포 분화 조절을 통한 골 파괴 억제 및 재생의학적 접근법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류마티스 질환의 유전적·분자적 병태생리 연구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의 유전적 및 분자적 병태생리를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메타분석 및 유전체 연관 연구(GWAS)를 통해, 각 질환의 감수성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유전자 다형성(IL-6, IL-10, TNF-α, STAT4, PADI4, FCGR 등)을 밝혀내고, 이들의 기능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어레이 및 전사체 분석을 활용하여 환자 샘플에서 차등 발현 유전자와 관련 신호 경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환의 발병 기전과 진행 과정에서의 핵심 분자 네트워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microRNA와 mRNA의 통합 분석을 통해,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과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류마티스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실제로 항-TNF 치료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 유전자 다형성 기반 감수성 진단 등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중 오믹스 데이터와 빅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류마티스 질환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1
The immune regulatory function of B7-H3 in malignancy: spotlight on the IFN-STAT1 axis and regulation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s
지종대
IMMUNOLOGIC RESEARCH, 202401
2
Augmenting MNK1/2 Activation by c-FMS Proteolysis Promotes Osteoclastogenesis and Arthritic Bone Erosion
지종대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2202
3
Inhibition of Human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Kynurenine through the Aryl-Hydrocarbon Receptor Pathway
지종대
CELLS, 202112
1
루푸스 병리기전으로 단핵구/대식세포에서 B7-H3의 역할 연구
2
인간 파골세포분화 checkpoint molecule로서 B7-H3의 역할 연구
3
TGF-β의 선택적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한 인간 파골세포 분화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