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해양환경에서의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본 연구실은 해양환경 내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POPs, PAHs, PBDEs 등)의 분포, 거동, 축적 및 위해성 평가를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다양한 해양 매체(해수, 퇴적물, 해양생물 등)에서의 오염물질 농도와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해양생태계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와 브롬계 난연제(PBDEs) 등 주요 오염물질의 공간적·시간적 분포, 생물농축 및 생태위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수동형채집기(passive sampler)와 같은 첨단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환경에서 생물에 이용 가능한 자유용존상 농도(freely dissolved concentration, Cfree)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총농도 기반 평가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정확한 위해성 평가와 오염원 추적이 가능합니다. 또한, 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영향(유전독성, 생식독성 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생물지표와 바이오마커(Comet assay 등)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해양오염사고(예: 허베이스피리트호 유출사고 등) 이후의 오염물질 거동 및 생태계 복원 과정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해양환경 관리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해양산업시설 및 오폐수처리장 등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환경영향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수동형채집기 개발 및 해양환경 표준분석법 확립
연구실은 해양환경 내 초저농도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의 정밀 측정과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동형채집기(passive sampler)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속회전식 수동형채집기,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비닐랩(LLDPE) 등 다양한 소재와 구조의 채집기를 개발하여, 해수 및 퇴적물 내 오염물질의 자유용존상 농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해양환경에서의 오염물질 분석을 위한 표준작업절차서(SOP) 개발 및 정도관리 체계 확립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석기법(SPE-GC/MS, 퍼지앤트랩/GC-MS, SIFT-MS 등)을 적용하여, 해수, 퇴적물, 생물 등 다양한 시료에서 오염물질의 정량분석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실험실 내(ex-situ) 및 현장(in-situ) 실험법의 최적화 연구를 통해, 분석 효율성과 데이터 품질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발된 수동형채집기와 분석법은 국내외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성과는 해양환경 오염 실태 진단, 오염원 추적, 정책 수립 및 환경기준 마련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