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금나나 연구실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금나나 교수

Colorectal Cancer

Cancer Epidemiology

Physical Activity and Cancer

금나나 연구실

식품생명공학과 금나나

금나나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과를 기반으로 영양과학, 만성질환 예방, 암 역학, 맞춤형 식이 및 운동 요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분자역학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식이 요인, 신체활동, 비만, 유전적 요인 등이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주요 만성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칼슘, 비타민 D, 견과류, 곡류, 채소 및 과일 등 주요 영양소와 식품군의 섭취가 질병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만과 체성분(체지방, 근육량 등), 체중 변화, 내장지방, 신체활동 부족, 좌식 생활습관 등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이 만성질환 및 암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분자생물학적 기전까지 함께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전자 변이와 생활습관 요인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맞춤형 식이 및 운동 요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별 건강 위험도를 예측하고, 효과적인 체중 관리 및 질병 예방 전략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전자 변이를 고려한 맞춤형 식이 및 운동 요법이 장기간 체중 감량과 연관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예: TV 시청 시간, 신체활동 강도, 식이 인슐린 지수 등)이 암 및 만성질환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공중보건 정책 및 임상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다수 발표되고 있으며, 국민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금나나 연구실은 앞으로도 영양과학 및 만성질환 예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맞춤형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olorectal Cancer
Cancer Epidemiology
Physical Activity and Cancer
영양과학과 만성질환 예방
영양과학은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식이 요인과 만성질환, 특히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과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 메타분석, 분자역학적 접근법 등을 활용하여 식이 패턴, 영양소 섭취, 신체활동, 비만 등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이 질병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칼슘, 비타민 D, 견과류, 곡류, 채소 및 과일 등 주요 영양소와 식품군이 암 및 만성질환의 위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칼슘과 비타민 D의 섭취가 대장암 및 기타 암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견과류와 곡류 섭취가 심혈관질환 및 전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식이 요인과 유전적 요인, 분자생물학적 표지자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맞춤형 영양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개인별 맞춤형 식이 및 생활습관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의 영양과학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공중보건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비만, 체성분, 그리고 암 역학
비만과 체성분(체지방, 근육량 등)은 다양한 만성질환과 암의 위험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금나나 연구실은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내장지방 등 다양한 비만 지표와 암, 특히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과의 역학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중 변화, 체성분 예측식 개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와 질병 발생 간의 연관성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은 체중 증가, 체중 순환(요요현상), 신체활동 부족, 좌식 생활습관(예: TV 시청 시간) 등이 암 및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어떻게 높이는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합니다. 또한, 내장지방이 대장 선종 및 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만성 염증, 호르몬 변화 등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함께 탐구하여 질병의 원인과 예방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만 관리와 만성질환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맞춤형 체중 관리 및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의 비만 및 체성분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암 예방을 위한 정책 및 임상적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ssociation of changes in predicted body composition with subsequent risk of dementia
금나나
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 202408
2
Water intake and obesity: By amount, timing, and perceived temperature of drinking water
금나나
PLOS ONE, 202404
3
Water Intake and Adiposity Outcomes among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금나나
NUTRIENTS, 202403
1
2024년 과학영재교육 저변 확대 전략과제 (STEM 생각교실)
한국과학창의재단
2024년 05월 ~ 2024년 12월
2
2024년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운영 지원 [1/1]
한국과학창의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2023년 STEM+I 생각교실 운영 [1/1]
한국과학창의재단
2023년 05월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