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영양과학과 만성질환 예방

영양과학은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식이 요인과 만성질환, 특히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과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 메타분석, 분자역학적 접근법 등을 활용하여 식이 패턴, 영양소 섭취, 신체활동, 비만 등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이 질병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칼슘, 비타민 D, 견과류, 곡류, 채소 및 과일 등 주요 영양소와 식품군이 암 및 만성질환의 위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칼슘과 비타민 D의 섭취가 대장암 및 기타 암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견과류와 곡류 섭취가 심혈관질환 및 전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식이 요인과 유전적 요인, 분자생물학적 표지자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맞춤형 영양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개인별 맞춤형 식이 및 생활습관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의 영양과학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공중보건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

비만, 체성분, 그리고 암 역학

비만과 체성분(체지방, 근육량 등)은 다양한 만성질환과 암의 위험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금나나 연구실은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내장지방 등 다양한 비만 지표와 암, 특히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과의 역학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중 변화, 체성분 예측식 개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와 질병 발생 간의 연관성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은 체중 증가, 체중 순환(요요현상), 신체활동 부족, 좌식 생활습관(예: TV 시청 시간) 등이 암 및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어떻게 높이는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합니다. 또한, 내장지방이 대장 선종 및 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만성 염증, 호르몬 변화 등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함께 탐구하여 질병의 원인과 예방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만 관리와 만성질환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맞춤형 체중 관리 및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합니다. 금나나 연구실의 비만 및 체성분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암 예방을 위한 정책 및 임상적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