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GSR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두희 교수

Slope Stability

Liquefaction Potential

Non-Destructive Testing

GSR

건설환경공학과 박두희

GSR 연구실은 건설환경공학 분야에서 지진 및 내진공학, 지반공학,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등 다양한 핵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터널, 교량, 옹벽, 사면, 댐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내진 성능 평가와 성능 기반 설계 방법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등가선형 및 비선형 해석, 동적 수치해석, 실험적 검증 등 첨단 해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반의 동적 특성, 액상화, 사면 안정, 기초 지지력, 지반 증폭 특성 등 지반공학적 현상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지반의 공간적 변이성, 지진파의 특성 등이 구조물의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며, 실무 적용이 가능한 설계 가이드라인과 내진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지진 피해 예측, 실시간 모니터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등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위한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지반공학, 오염토양 복원, 비파괴 검사, 스마트 센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등 환경 및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융합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GSR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대형 연구 프로젝트와 산학협력 과제를 수행하며, 국가적 재난 예방 및 복구 정책 수립,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 향상, 지속가능한 도시 인프라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학회, 기술 가이드라인, 정책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미래 건설환경공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Slope Stability
Liquefaction Potential
Non-Destructive Testing
지진 및 내진공학
지진 및 내진공학은 지반과 구조물의 지진 거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내진 설계를 구현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지반 조건과 구조물 유형에 대해 지진 시 발생하는 동적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실제 지진 기록 및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내진 성능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터널, 교량, 옹벽, 사면 등 다양한 인프라 시설물의 내진 취약도 평가와 성능 기반 설계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지진 응답 해석을 위해 등가선형 및 비선형 해석, 동적 수치해석, 실험적 검증 등 다양한 첨단 해석 기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지반 조건에 맞는 내진 설계 기준 및 지진 취약도 곡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지반의 공간적 변이성, 지진파의 특성 등이 구조물의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지진 피해 예측,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에도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기반시설의 지진 안전성 향상과 재난 대응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며, 국가적 재난 예방 및 복구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학술적·실무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지반공학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지반공학은 토질, 암반, 지반구조물의 물리적·역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토목구조물 설계 및 시공을 지원하는 학문입니다. 본 연구실은 지반의 동적 특성, 액상화, 사면 안정, 기초 지지력, 지반 증폭 특성 등 다양한 지반공학적 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특히,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해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터널, 매설관, 댐, 옹벽, 사면 등 다양한 지반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및 3차원 유한요소해석, 원심모형실험, 현장 계측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활용합니다. 또한, 지반의 공간적 변이성, 불연속면(절리), 지반의 비선형 거동, 지진파의 입사 특성 등이 구조물의 안정성과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합니다. 이와 더불어, 지반공학 분야의 최신 이슈인 환경지반공학, 오염토양 복원, 비파괴 검사, 스마트 센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등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안전한 사회기반시설 구축과 지속가능한 도시 인프라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국내외 다양한 대형 프로젝트와 정책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ssessments of Liquefaction Triggering Using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in Pohang, South Korea
박두희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202412
2
Novel method to estimate horizontal variability of shear wave velocity through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박두희
ENGINEERING GEOLOGY, 202412
3
Spatial coherency analysis of seismic motions from a hard rock site dense array in Busan, Korea
박두희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202412
1
800ton 페데스탈크레인 일체형 13,000ton급 해상풍력발전기 전용 설치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 2023년 09월
2
상시미진동 배열 기록 기반 3D 지반주상도 생성 인공지능 모델 개발
국토교통부
2022년 ~ 2022년 12월
3
터널 내진 안전성 평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2021년 06월 ~ 202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