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형 연구실
수의과 김근형
김근형 연구실은 수의외과학을 중심으로 반려동물 및 다양한 동물의 외과적 질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조직재생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동물의 골절, 관절 질환, 척추 질환, 연부조직 수술 등 다양한 외과적 문제에 대한 임상적 접근과 수술적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최신 영상진단기법과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해 치료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슬개골 탈구, 십자인대 파열, 척추 불안정증 등 소형견에서 자주 발생하는 정형외과적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와 예후 평가, 그리고 다양한 수술기법의 비교 연구와 수술 후 재활 및 회복 과정에 대한 장기적 추적 관찰을 통해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과적 치료 후의 재활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운동치료, 물리치료, 보조기기 적용 등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조직재생 및 조직공학 분야에서는 골수유래 줄기세포, 생체적합성 스캐폴드, 성장인자 등을 이용한 골·연골 재생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기술과 생체재료를 접목한 맞춤형 임플란트 및 조직재생유도막 개발, 이식 후 조직의 생착 및 기능 회복에 관한 연구도 두드러집니다. 실험동물 및 임상 환자에서의 골·연골 결손 모델을 구축하여 다양한 재생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고, 조직공학적 치료법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영상의학 분야에서는 MRI, CT, 방사선 촬영,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진단기법을 활용하여 골격계, 연부조직, 신경계 질환의 병변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수술 전후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차원 모델링, 생체역학적 시뮬레이션, 정량적 분석기법 개발 등 진단의 객관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동물의 삶의 질 향상과 빠른 사회 복귀를 목표로 하여 보호자와의 소통 및 교육에도 힘쓰고 있으며,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대동물, 실험동물 등 다양한 종에서의 질환 치료와 재생의학 연구를 통해 수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인체 의학과의 융합연구 및 임상적 확장 가능성까지 모색하고 있습니다.
Veterinary Orthopedics
Canine Disease Patterns
Canine Olfaction
수의외과학: 반려동물 외과적 치료와 재활
수의외과학은 반려동물 및 다양한 동물의 외과적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학문입니다. 본 연구실은 소동물의 골절, 관절 질환, 척추 질환, 연부조직 수술 등 다양한 외과적 문제에 대한 임상적 접근과 수술적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소형견에서 자주 발생하는 슬개골 탈구, 십자인대 파열, 척추 불안정증 등 정형외과적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와 예후 평가에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최신 영상진단기법(MRI, CT, 방사선 등)과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해 외과적 치료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수술기법의 비교 연구, 수술 후 재활 및 회복 과정에 대한 장기적 추적 관찰을 통해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수의사의 치료 선택과 환자 맞춤형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외과적 치료 후의 재활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운동치료, 물리치료, 보조기기 적용 등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의 삶의 질 향상과 빠른 사회 복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보호자와의 소통 및 교육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수의정형외과 및 조직재생: 골·연골 재생과 조직공학
본 연구실은 동물의 골절, 관절 손상, 연골 결손 등 정형외과적 문제에 대한 조직재생 및 조직공학적 접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골수유래 줄기세포, 생체적합성 스캐폴드, 성장인자 등을 이용한 골·연골 재생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과 생체재료를 접목한 맞춤형 임플란트 및 조직재생유도막 개발, 이식 후 조직의 생착 및 기능 회복에 관한 연구가 두드러집니다.
연구실은 실험동물 및 임상 환자에서의 골·연골 결손 모델을 구축하여, 다양한 재생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톤(PCL),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탈세포화 조직 등 다양한 스캐폴드와 줄기세포의 결합을 통한 조직재생 효과를 분석하며, 조직공학적 치료법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조직재생 과정에서의 세포-기질 상호작용, 성장인자 분비, 면역반응 등 미세환경 변화에 대한 기초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대동물, 실험동물 등 다양한 종에서의 골·연골 질환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동물의 기능적 회복과 삶의 질 향상, 나아가 인체 의학과의 융합연구 및 임상적 확장 가능성까지 모색하고 있습니다.
수의영상의학 및 진단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수의외과 및 정형외과적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위해 첨단 영상의학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MRI, CT, 방사선 촬영,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진단기법을 활용하여 골격계, 연부조직, 신경계 질환의 병변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수술 전후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소형견의 척추질환, 관절질환, 선천성 기형 등에서 영상진단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차원 모델링, 생체역학적 시뮬레이션, 정량적 분석기법 개발 등 진단의 객관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수술계획 수립, 맞춤형 임플란트 제작, 예후 예측 등 임상적 의사결정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영상진단과 조직병리, 분자진단 등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해 질환의 원인 규명과 조기진단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수의학 임상현장에서의 진단 정확도 향상뿐만 아니라, 신기술의 임상 적용 및 표준화, 수의영상의학 분야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Temporary circular external fix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bilateral radial non-union in a Toy Poodle
김동욱, 장예현, 송보경, 안병호, 김근형
Open Veterinary Journal, 202411
2
Effect of leash walking on weight loss and assessment of hair cortisol in overweight dogs
김근형, Kim K., Song B., Kim D.H., Kim D.H., Lee H.J.
Comparative Exercise Physiology, 202406
3
An Undetermined Osteoporotic Disease Managed with IM Rod in a Dog
김근형, 오혜종, 안병호, 김동욱, 안희수, 장동우
THAI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202309
3
무릎연골 재생을 위한 연골조직 수복용 지지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