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진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박찬진
박찬진 연구실은 치의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인공치아매식보철학을 중심으로 첨단 치과 보철 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플란트 보철, 무치악 및 부분 무치악 환자의 보철 치료, 그리고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철물 제작 등 치과 보철학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플란트와 보철물 간의 결합력, 유지력, 그리고 다양한 보철 재료의 물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AD/CAM, 3D 프린팅, 디지털 스캐닝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보철물의 정밀도와 치료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환자별 구강 구조에 최적화된 보철물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르코니아, 리튬디실리케이트, 레진나노세라믹 등 최신 치과 재료의 임상 적용성, 파절 저항성, 결합 강도, 변연 적합도, 내구성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반응, 골유착 과정, 임플란트 실패 요인 분석 등 임상적 문제 해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와 협력 연구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치과 보철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영상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디지털 워크플로우 기반의 치료 계획 수립 등 미래 지향적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박찬진 연구실은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치과 보철학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적 혁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Implant Prosthesis
Fracture Resistance
Ceramic Materials
인공치아매식보철학
인공치아매식보철학은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인공치아를 식립하여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도모하는 치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이 연구분야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보철물의 설계, 그리고 환자 개개인의 구강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무치악 환자나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보철물의 조합을 통해 저작 기능과 발음, 심미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임플란트 시스템과 보철 재료의 물성, 그리고 임플란트와 보철물 간의 결합력 및 유지력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AD/CAM 기술과 3D 프린팅 등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술을 접목하여 보철물의 정밀도와 환자 맞춤형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반응, 골유착 과정, 그리고 임플란트 실패 요인 분석 등 임상적 문제 해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무치악 환자 및 복합적인 구강 문제를 가진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법과 재료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디지털 치과 보철 및 첨단 재료 연구
디지털 치과 보철 분야는 CAD/CAM, 3D 프린팅, 디지털 스캐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보철물의 설계와 제작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디지털 방법을 이용한 인상채득, 보철물 디자인, 그리고 맞춤형 보철물 제작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환자별 구강 구조에 최적화된 보철물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르코니아, 리튬디실리케이트, 레진나노세라믹 등 최신 치과 재료의 물성 평가와 임상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보철물의 파절 저항성, 결합 강도, 변연 적합도, 내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험적 검증을 진행하며, 임상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한 치료 계획 수립과 시뮬레이션,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과 보철 치료의 예측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미래 치과 보철학의 발전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1
Effect of substructure fabrication method and design on the fracture resistance properties of metal?ceramic restorations
이영훈,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고경호
JOURNAL OF PROSTHODONTICS-IMPLANT ESTHETIC AND RECONSTRUCTIVE DENTISTRY, 202506
2
Effect of Occlusal and Axial Thickness on the Fracture Load of Implant-Supported Monolithic Zirconia Crowns
서민경,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S, 202506
3
Edge Chipping Resistance and Flexural Strength of CAD- CAM Ceramics Before and After Thermomechanical Aging
송민규,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Journal of Esthetic and Restorative Dentistry, 202505
1
인공지능 학습 지원을 위한 치과 영상 데이터 수집 용역
3
인공지능 학습 지원을 위한 치과 영상 데이터 자료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