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서준교 연구실

한림대학교 의예의학과

서준교 교수

Wild Mouse Models

Diabetes Pathogenesis

Hearing Loss Mechanisms

서준교 연구실

의예의학과 서준교

서준교 연구실은 실험동물의학 및 의학유전학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 야생 마우스를 활용한 신규 근교계 마우스 개발, 다양한 유전자 변형 동물모델 구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질환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험동물의 유전적 다양성 확보와 질환모델의 정밀화는 인간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신약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연구실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질환뿐만 아니라, 감염질환, 난청,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동물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병 마우스, 렙틴 수용체 돌연변이 마우스, 아포지단백 E 결손 마우스 등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질환의 발생 기전, 성별 및 유전적 요인의 영향, 치료제의 효능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야생 마우스를 활용한 신종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연구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와 병원성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동물센터 운영, 국제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발표, 특허 출원 등 다양한 학술 및 산업 활동을 통해 실험동물의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실험동물의 혈관계 시각화, 유전자형 판별법 개발, 항노화 및 항비만 소재 개발 등 다수의 특허와 연구성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도 활발히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염증성 장질환의 연관성, 성별에 따른 대사질환 감수성, 신종 감염병 동물모델 개발 등 최신 연구 트렌드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맞춤형 동물모델 구축, 신약후보물질의 효능 검증, 질환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 등 실질적이고 응용 가능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서준교 연구실은 앞으로도 실험동물의학과 의학유전학의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 질환의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국내외 연구 및 산업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Wild Mouse Models
Diabetes Pathogenesis
Hearing Loss Mechanisms
실험동물의학 및 동물모델 개발
서준교 연구실은 실험동물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야생 마우스를 기반으로 한 신규 근교계 마우스(KWM/Hym) 개발에 주력하여, 기존 실험실 마우스의 유전적 다양성 부족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실험동물의 유전적 다양성 확보와 함께, 다양한 질환 모델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인간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을 탐구합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비만, 난청,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 기전 및 치료제의 효능을 평가합니다. 특히,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야생 마우스의 교배를 통한 새로운 모델 개발은 실험동물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모델 개발 연구는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동물센터 운영, 국제 심포지엄 발표, 특허 출원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험동물의학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질환 동물모델을 통한 대사질환 및 감염질환 연구
연구실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트렙토조토신(STZ) 유도 당뇨병 마우스, 렙틴 수용체 돌연변이(db/db) 마우스, 아포지단백 E 결손(ApoE KO) 마우스 등 다양한 유전자 변형 및 질환모델을 활용하여 성별, 유전적 배경, 환경 요인 등이 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성별에 따른 당대사 차이, 베타세포 기능 변화, 인슐린 저항성 등 세부적인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감염질환 및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야생 마우스를 활용한 신종 바이러스(Paramyxovirus, Campylobacter 등) 및 인플루엔자 감염 모델을 개발하고, 이들 동물에서의 유전자 및 면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인간 감염병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SARS-CoV-2(코로나19) 감염 억제 펩타이드 개발,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세포 스트레스 반응 연구 등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 맞춤형 동물모델 구축, 신약후보물질의 효능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1
Molecular detection and genomic characterization of Samak Micromys paramyxovirus-1 and-2 in Micromys minutus, Republic of Korea
서준교
VIROLOGY JOURNAL, 202410
2
In vitro and in vivo suppression of SARS-CoV-2 replication by a modified, short, cell-penetrating peptide targeting the C-terminal domain of the viral spike protein
서준교
JOURNAL OF MEDICAL VIROLOGY, 202303
3
Outbred Mice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Show Sex Differences in Glucose Metabolism
서준교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03
1
야생 마우스에서 염증성 장질환과 장내 마이크로바옴의 연관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성별이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3년 05월
3
야생유래신규 근교계 마우스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3년 ~ 2023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