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영 연구실
약학과 한은영
한은영 연구실은 약학과를 기반으로 약물 및 마약류 분석, 법과학, 식품 및 환경 안전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액체크로마토그래피-텐덤질량분석기(LC-MS/MS) 등 첨단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생체시료, 식품, 환경 시료에서의 약물, 마약류, 유해물질의 동시 다성분 분석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법과학 수사, 식품 및 한약재 안전관리, 환경오염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발 및 생체시료 기반의 약물 남용 및 중독 모니터링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모발 내 약물 농도와 실제 투약력, 남용 패턴과의 상관관계 분석, 내인성/외인성 물질 구별, 동물모델 연구 등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을 높이고, 약물 재활치료 평가, 청소년 및 취약계층의 약물 오남용 실태조사 등 공공보건 분야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및 한약재 내 유해물질 및 마약류 혼입 실태조사와 안전관리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식품 내 칸나비노이드, 한약재 내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등 신종 유해물질의 동시분석법 개발, 실태조사, 표준화 및 교차검증 등 국민 건강과 직결된 연구를 통해 식품 및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법과학, 약학, 환경 및 식품 안전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분석기술의 표준화와 국제적 신뢰성 확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 약물 및 마약류 관리체계 고도화, 국민 건강 및 안전 증진, 관련 정책 및 법제 개선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은영 연구실은 첨단 분석기술 개발, 실무 적용성 강화, 공공보건 및 사회안전망 강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적 가치와 학문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약물 및 마약류 분석, 법과학, 식품 및 환경 안전 분야의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Drug Abuse Monitoring
Analytical Chemistry
Legislative Management of Psychoactive Substances
약물 및 마약류 분석을 위한 첨단 분석기술 개발
한은영 연구실은 약물 및 마약류의 정확한 검출과 정량을 위해 다양한 첨단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액체크로마토그래피-텐덤 질량분석기(LC-MS/MS) 등 최신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생체시료(모발, 혈액, 소변 등) 및 식품, 환경 시료에서의 약물, 마약류, 잔류물질을 동시 다성분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표준물질 개발, 분석법의 검증 및 교차검증, 불확도 평가 등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신뢰성 높은 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기술은 실제 법과학 현장에서의 약물 남용, 중독, 범죄수사, 식품 및 환경 안전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발 내 메스암페타민, 암페타민, 칸나비노이드, 오피오이드 등 다양한 마약류의 농도 측정 및 투약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식품 내 마약류 혼입 실태조사, 수산물 및 한약재 내 잔류물질 검출 등 실질적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석법의 자동화 및 고속화, 다성분 동시분석법 확립 등 실무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법과학, 약학, 환경 및 식품 안전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분석기술의 표준화와 국제적 신뢰성 확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적 약물 및 마약류 관리체계 고도화, 국민 건강 및 안전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 및 법제 개선에도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발 및 생체시료 기반 약물 남용 및 중독 모니터링
본 연구실은 모발, 혈액, 소변 등 다양한 생체시료를 활용한 약물 남용 및 중독 모니터링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모발 분석은 약물의 장기적 복용 이력과 남용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법과학적 증거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연구실은 모발 내 약물 농도와 실제 투약력, 남용 빈도, 복용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약물 남용자 및 재활치료자의 행동 특성, 재범 위험성 평가 등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스암페타민, 벤조디아제핀, 졸피뎀, 칸나비노이드 등 다양한 남용약물에 대한 모발 분할분석, 내인성/외인성 물질 구별, 동물모델을 통한 약물의 모발 내 축적 메커니즘 규명 등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발 세척, 염색, 외부 오염 등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에 대한 평가와 표준화 연구도 병행하여, 분석 신뢰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법과학 수사, 법정 증거자료, 약물 재활치료 평가, 청소년 및 취약계층의 약물 오남용 실태조사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약물 남용 예방사업의 성과지표 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등 공공보건 및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식품 및 한약재 내 유해물질 및 마약류 혼입 실태조사와 안전관리
한은영 연구실은 식품, 한약재, 수산물 등 다양한 생활환경 시료에서의 유해물질 및 마약류 혼입 실태조사와 안전관리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식품 내 칸나비노이드, 한약재 내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등 신종 유해물질의 동시분석법 개발, 잔류물질의 검출 및 교차검증, 식품 및 한약재의 안전성 평가 등 국민 건강과 직결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LC-MS/MS, GC-MS 등 첨단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미량의 유해물질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 국내 유통 식품 및 한약재의 실태조사를 통해 관리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시험법의 표준화, 교차검증, 실무 적용성 평가 등 실질적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립환경과학원 등 정부기관과의 협력 하에 이루어지며, 국민 식생활 안전, 한약재 품질관리, 환경오염 예방 등 다양한 공공목적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정책 수립, 법제 개선, 산업계 품질관리 등에도 과학적 근거로 제공되어, 사회 전반의 안전 수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Simultaneous analysis of 203 drugs of abuse and metabolites in urine sampl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이상은, 이지현, 장다인, 조희정, 최선미, 류은빈, 구원희, 송재우, 임나영
JOURNAL OF CHROMATOGRAPHY B-ANALYTICAL TECHNOLOGIES IN THE BIOMEDICAL AND LIFE SCIENCES, 202502
2
Crystal structure of an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3,4-methylenedioxy methamphetamine through the epoxide moiety
한은영, Geonho Cheon, Dahyun Hwang, Truc Chi Le, Yeongmok Lee, Sora An, Yeji Jung, Heesun Chung, Sangho Le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2408
3
The need to monitor emerging issues in etomidate usage: the misuse or abuse potential
한은영, 홍송희, 엄지영
FORENSIC SCIENCE MEDICINE AND PATHOLOGY, 202302
1
청소년 오남용 우려 약물의 모발 중 노출평가 및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