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임상의학전공(의대) 권순길 교수
권순길 연구실은 신장내과를 중심으로 만성 신부전, 급성 신손상, 사구체 질환 등 다양한 신장 질환의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국 단위의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합병증(예: 급성 담낭염, 망막혈관 폐쇄, 암, 결핵 등)의 발생률과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투석 방법에 따른 임상적 차이와 예후를 비교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진단과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실은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와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동물 모델과 임상 샘플을 활용하여 급성 신손상, 만성 신부전, 사구체 질환 등에서 나타나는 분자적 변화와 신호전달 경로를 연구하며, GLP-1 수용체, 암모니아 운반체, podocyte 단백질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와 신장 손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신장 질환의 조기 진단과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약물 유발성 신장 손상, 유전자 다형성과 신장 질환의 연관성, 면역 및 염증 반응의 조절 기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신장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합병증 예방, 그리고 의료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힘쓰고 있습니다. 실제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예후 예측 모델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에서의 혈압 조절, 심혈관계 합병증, 영양 상태, 빈혈 관리 등 신장 질환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이슈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장기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권순길 연구실은 신장내과 분야에서 임상과 기초 연구를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신장 질환 환자들의 건강 증진과 신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