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보현 연구실

강릉원주대학교 치의학과/치의예과

정보현 교수

Stem Cells

Stem cells

Periodontal disease

정보현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정보현

정보현 연구실은 치의학과를 기반으로 육안해부학, 치주질환, 치조골 소실,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한 치주염 및 치조골 소실 연구를 통해 치주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다양한 약물 및 천연물의 효능을 검증하여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치주질환이 전신 건강, 특히 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 유발 세균의 독소가 뇌에 미치는 영향, 신경염증 유발 기전, 그리고 구강 건강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강 건강 증진이 전신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신경계 손상 모델에서 천연물 및 경두개직류자극(tDCS) 등 다양한 신경보호 인자의 효과를 평가하고, 신경세포 사멸 억제, 산화스트레스 감소, 신경재생 촉진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와 그 분자적 기전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뇨병, 스트레스, 약물 등 다양한 전신적 요인이 구강 조직 및 치조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실험동물 모델의 표준화, 새로운 평가 지표 개발 등 연구 방법론의 고도화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정보현 연구실은 치의학의 기초와 임상을 연결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구강 및 전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Stem Cells
Stem cells
Periodontal disease
육안해부학을 기반으로 한 치주질환 및 치조골 연구
정보현 연구실은 육안해부학을 기반으로 치주질환과 치조골 소실의 병태생리 및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결찰 유도 치주염, 치조골 파괴, 그리고 다양한 약물 및 천연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홍삼 추출물, 노니,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치주염 및 치조골 파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치주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치조골 소실의 진행과정과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치주질환의 발병 기전과 진행 양상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치주조직의 재생 및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합니다. 또한, 다양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 치주질환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밝히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과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합니다. 나아가, 실험동물 모델의 표준화 및 새로운 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치주질환 연구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강 및 신경계 상호작용 연구와 신경보호 효과 탐색
정보현 연구실은 구강 건강과 신경계 질환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의 독소가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여 뇌에 신경염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 특히 신경계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과성 허혈, 글루탐산염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 등 다양한 신경계 손상 모델에서 천연물(예: 진세노사이드, 폴리시아스 추출물) 및 경두개직류자극(tDCS) 등의 신경보호 효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세포 및 동물 수준에서 신경세포 사멸 억제, 산화스트레스 감소, 신경재생 촉진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확인하고, 그 분자적 기전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주질환과 신경계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강 건강 증진이 전신 건강, 특히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합니다. 더불어, 신경계 손상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일과성 허혈에 의한 지연성 신경세포사에서 음극성 경두개직류자극 강도에 따른 신경세포 보호 효과
이종훈, 정보현, 유기연
대한구강해부학회지, 202312
2
Lactobacillus fermentum attenuates the alveolar bone loss in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in mice
Yuni Lee, 정보현, Ki-Yeon Yoo, Hye Ji Lim, Kum-Joo Shin, Jae-Kwan Lee
Oral Diseases, 202309
3
Temporal changes of periodontal tissue pathology in a periodontitis animal model
윤현필, 정보현, 유기연, 이종빈, 엄흥식, 장범석, 이재관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202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