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노영숙 연구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노영숙 교수

Seismic Retrofitting

Concrete Structures

AI in Construction

노영숙 연구실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노영숙

노영숙 연구실은 건축학부를 기반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내구성, 성능 향상, 그리고 첨단 보강공법 개발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 노후화, 열화 현상 등 다양한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적외선 열화상, 디지털 화상 분석 등 첨단 진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과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섬유시트(CFRP), 아라미드 섬유, FRP 등 고성능 복합재료를 활용한 내진 보강공법 및 구조물 성능 회복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적 연구와 함께, 신축 줄눈대, 하이브리드 슬래브 시스템 등 혁신적 구조 시스템의 개발 및 특허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물의 내진 안전성 강화와 시공 효율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건설재료 및 구조체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파우더 베드 융합, 바인더젯 3D 프린팅 등 첨단 제조기술을 통해 경량화, 고강도화, 맞춤형 구조물 제작이 가능한 신기술을 건설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플라스틱, 폐패각, 재생 이산화티탄 등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콘크리트 골재 및 혼합물 개발을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특허 출원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기술 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건축환경의 안전성과 친환경성 확보를 위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노영숙 연구실은 첨단 구조공학, 친환경 건설재료, 혁신적 보강공법 등 다양한 연구를 지속하여, 건축공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적용을 선도할 것입니다.

Seismic Retrofitting
Concrete Structures
AI in Construction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내구성 및 성능 향상
철근콘크리트구조는 현대 건축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조 방식 중 하나로, 구조적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내구성 향상과 구조 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근의 부식, 콘크리트의 노후화, 그리고 외부 환경에 의한 열화 현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예측 기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비파괴 검사 기법, 적외선 열화상법, 디지털 화상 분석 등 첨단 진단 기술을 활용하여 구조물 내부의 손상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부식률 및 구조적 결함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실험실 및 현장 실험을 통해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을 분석하고, 내구성 향상을 위한 신소재 및 보강공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기존 건축물의 수명 연장과 유지관리 비용 절감, 그리고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계획입니다.
첨단 보강재 및 신공법을 활용한 구조물 내진·보수 기술
최근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성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실은 내진 성능 향상과 구조물 보수를 위한 첨단 보강재 및 신공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탄소섬유시트(CFRP), 아라미드 섬유, FRP 등 고성능 복합재료를 활용한 보강공법을 연구하며,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보강 및 성능 회복을 위한 실험적·이론적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건축물의 최적 내진보강을 위한 부착 및 정착성능 기준을 제안하고,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합니다. 또한, 신축 줄눈대, 하이브리드 슬래브 시스템 등 구조적 혁신을 위한 특허 기술도 다수 개발하여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 확보뿐만 아니라,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재료와 혁신적 구조 시스템을 융합하여, 노후 건축물의 재생과 신축 건축물의 내진 설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안전망 강화와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3D 프린팅 및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
건설 산업의 미래를 이끌기 위해 본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술과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파우더 베드 융합 적층제조, 바인더젯 3D 프린팅 등 첨단 제조기술을 활용한 격자 구조체 및 콘크리트 부재의 구조적 성능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량화, 고강도화, 맞춤형 구조물 제작이 가능한 신기술을 건설 분야에 접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플라스틱, 폐패각, 재생 이산화티탄 등 다양한 산업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골재 및 혼합물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설 폐기물의 자원화와 환경오염 저감, 그리고 지속가능한 건설 생태계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관련 특허와 논문을 통해 기술의 실용성과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반의 혁신적 건설재료와 친환경 기술 개발을 지속하여,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1
Estimating punching shear strength of recycled aggregate reinforced concrete flat slabs
노영숙
Journal of Structural Integrity and Maintenance, 202501
2
Estimating flexural strength of precast deck joints using Monte Carlo Model Averaging of non-fine-tuned machine learning models
Roh Young-Sook
FRONTIERS OF STRUCTURAL AND CIVIL ENGINEERING, 202412
3
Effects of the unit-cell size and arrangement on the compressive behaviors of lattice structures in powder bed fusion additive manufacturing
0, Roh Y.-S., 0
Results in Materials, 202406
1
콘크리트 노후화 정도에 따른 섬유 보강 효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년 07월 ~ 2025년 06월
2
노후화된 기존 건축물의 최적 내진보강을 위한 부착 및 정착성능 기준 제안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공사원가 절감을 위한 탈착 패널 방식의 하이브리드형 중공슬래 브 시스템 개발 및 구조안전성 검증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4년 ~ 2024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