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연구실
도시공학과 김유정
김유정 연구실은 도시공학 분야에서 도시 기후변화 대응과 회복력 증진, 보행자 열쾌적성 개선, 그리고 도시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도시 열섬 현상, 극한 고온, 도시홍수 등 기후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환경 설계와 정책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내 녹지 및 수변 공간의 배치, 도시 형태, 건물 밀도, 가로환경 등 공간적 특성이 도시민의 건강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연구실은 IoT 센서 빅데이터, 위성영상, Google Street View 이미지 등 첨단 공간정보와 기상 데이터를 융합하여 실제 보행자 수준에서의 열 취약성과 쾌적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과학적인 도시 설계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며, 도시 보행환경의 기후적 적응력 강화와 보행자 안전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 기후 적응 전략과 회복력 평가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시민, 정책결정자, 도시계획가, 기후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차이와 정책 실행의 격차를 분석하고, 인식 제고, 맞춤형 교육, 미디어 캠페인,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도시홍수 대응전략의 우선순위 분석, 회복력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등 실질적인 정책 도구를 개발하여, 도시의 기후재난 대응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와 더불어, 도시농업,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 등 도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도시농업 참여 촉진, 도시환경 교육정책, 공간정보 활용 등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김유정 연구실의 연구는 도시환경의 기후적 회복력 강화, 보행자 중심의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 그리고 도시민의 건강과 안전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도시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실질적인 정책 제안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에 앞장설 것입니다.
Urban Resilience
Microclimate Systems
Climate-Responsive Urban Design
도시 열섬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환경 설계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는 점점 더 극심한 열 환경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김유정 연구실은 도시 열섬 현상(Urban Heat Island)과 극한 고온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환경 설계 및 계획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내 다양한 규모의 계획과 정책이 열 취약성 저감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분석하며, 도쿄, 서울, 휴스턴 등 다양한 도시를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녹지 및 수변 공간의 배치와 구성, 도시 형태, 건물 밀도, 가로환경 등 도시 공간적 특성이 열 환경과 보행자의 야외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IoT 센서 빅데이터, 위성영상, Google Street View 이미지 등 첨단 공간정보와 기상 데이터를 융합하여, 실제 보행자 수준에서의 열 취약성과 쾌적성을 분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도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과학적인 도시 설계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 열섬 저감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와 대응전략, 회복력 증진 방안도 연구의 중요한 축입니다. 델파이, AHP 등 다양한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하여 도시홍수, 폭염 등 기후재난에 대한 도시의 회복력과 대응역량을 평가하고, 실질적인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기후 적응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도시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보행자 열쾌적성 및 도시 보행환경 개선
김유정 연구실은 도시 보행자의 야외 열쾌적성(Outdoor Thermal Comfort)과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미기후 요인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열 스트레스가 도시민의 보행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행환경의 기후적 쾌적성 확보가 중요한 도시계획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도시 유형(상업지, 주거지, 혼합용도지 등)과 보행자 특성(연령, 취약계층 등)에 따라 온도, 습도, 일사, 녹지피복, 하늘가시도(SVF) 등 미기후 요소가 보행량과 보행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IoT 센서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요일별, 공간별 보행량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폭염에 취약한 보행자 집단의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또한, 녹지 및 수변 공간의 배치가 보행자 열쾌적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보행환경의 기후적 적응력 강화, 보행자 안전 및 건강 증진, 그리고 도시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합니다. 실제로 연구 결과는 도시 보행로 설계, 녹지 조성, 열섬 완화 정책 등 다양한 도시계획 및 설계 실무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도시 기후 적응 및 회복력 증진 전략
도시 기후 적응과 회복력 증진은 현대 도시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김유정 연구실은 도시 기후 현상(열섬, 폭염, 홍수 등)에 대한 인식, 적응 전략, 그리고 회복력 평가에 관한 다층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다양한 도시를 대상으로 시민, 정책결정자, 도시계획가, 기후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차이와 정책 실행의 격차(implementation gap)를 분석합니다.
연구실은 도시 기후 적응 전략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인식 제고, 맞춤형 교육, 미디어 캠페인,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도시홍수 대응전략의 우선순위 분석, 회복력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등 실질적인 정책 도구를 개발하여, 도시의 기후재난 대응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장기적 지속가능성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재해(홍수, 폭염 등)에 대한 대응전략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도시별 맞춤형 회복력 증진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실제 도시정책 및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합니다. 연구 결과는 도시환경 정책, 도시계획, 환경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Plan integration for urban extreme heat: Evaluating the impacts of plans at multiple scales in Tokyo, Japan
Yu Siyu, Lei Kin Long, Li Dongying, Kim You Joung, Nemoto Mio, Gatson Sarah, Yokohari Makoto, Brown Robert
URBAN CLIMATE, 202405
2
Street-level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Assessing the cooling effect of green infrastructure using urban IoT sensor big data
Jang Seonju, Bae Jinhyun, Kim Youjoung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202401
3
Heat vulnerability and street-level outdoor thermal comfort in the city of Houston: Application of google street view image derived SVFs
Kim YouJoung, Li Dongying, Xu Yangyang, Zhang Yue, Li Xiaoyo, Muhlenforth Lexi, Xue Shengliang, Brown Robert
URBAN CLIMATE, 20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