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병권 연구실

부경대학교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

조병권 교수

AC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Waveform

Luminous Efficiency

조병권 연구실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 조병권

조병권 연구실은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을 기반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C PDP) 및 방전/고전압 기술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플라즈마 방전 현상의 이론적 분석과 실험적 검증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성능 향상과 신뢰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전 특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구동 파형 설계, 전극 구조 최적화, 문턱전압 폐곡선 분석 등 첨단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구동 회로 설계 및 제작에도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휘도 효율, 색 재현성, 에너지 절감 등 디스플레이의 핵심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경광 감소, 이미지 스티킹 현상 완화, 기입방전 시간 단축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기반 신소재 합성 연구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방전 기술을 활용하여 탄소나노소재, 그래핀, 고분자-나노복합체 등 첨단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센서, 에너지 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합성법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특허, 저서 등으로 발표되어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술대회 발표와 산학협력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실용화와 기술 이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조병권 연구실은 앞으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신소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재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것입니다.

AC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Waveform
Luminous Efficienc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C PDP) 방전 및 구동 기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C PDP)은 고전압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본 연구실은 AC PDP의 방전 특성과 구동 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방전 특성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구동 파형, 전압 조절, 전극 구조의 최적화 등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며, 이를 통해 휘도 효율, 색 재현성, 에너지 절감 등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문턱전압(Vt) 폐곡선 분석, 중첩 주사파형, 비대칭 전극 구조 등 다양한 실험적 및 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방전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기입방전 시간 단축, 배경광 감소, 이미지 스티킹 현상 완화 등 실제 제품의 품질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구동 회로 설계 및 제작에도 중점을 두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산업적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기반 신소재 합성 및 응용
본 연구실은 플라즈마 방전 기술을 활용한 신소재 합성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액 내 합성, 대기압 플라즈마 중합, 나노탄소소재 및 고분자 복합체 제조 등 다양한 신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합성법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새로운 물성의 소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플라즈마 공정을 통해 탄소나노소재, 그래핀, 고분자-나노복합체 등 첨단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센서, 에너지 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촉매 없는 조건에서의 다중 성분 반응, 친환경 용매를 이용한 합성법 등 지속가능한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플라즈마 기술의 융합적 활용을 통해 차세대 전자소재 및 디스플레이 소재의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특허 출원을 통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1
Changes of write discharge characteristics by wall voltage and external applied voltage in AC PDP
조병권, 정연태, 김준엽
MOLECULAR CRYSTALS AND LIQUID CRYSTALS, 202203
2
Reduction of background light by modified voltage waveform in AC plasma display panel
조병권, 정연태, 김준엽
MOLECULAR CRYSTALS AND LIQUID CRYSTALS, 202203
3
PEG-assisted one-pot three-component synthesis of 1,3-oxazino quinoline and chromeno 1,3-oxazine derivatives under catalyst free condition
정연태, YADAV MARU, BALWE SAND, 김종태, 조병권
Synthetic Communications, 2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