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wool Yeon Research Lab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연한울 교수
신소재공학부 연한울
연한울 연구실은 차세대 반도체 소자와 시스템을 위한 혁신적인 신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 메탈라이제이션(SMART Metallization)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유형상 및 유연성이 뛰어난 뉴로모픽 엣지 컴퓨팅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모바일 및 휴대용 엣지 디바이스를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지능형 하드웨어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실은 반도체 소자 내 금속 접점 형성, 소자 간 신뢰성 높은 금속 연결, 그리고 고성능 뉴로모픽 소자 및 이종 집적 인공 감각 신경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 과학, 미세 공정, 집적회로 설계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며, 미래 지능형 시스템의 핵심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연 전자피부 및 스트레인 센서와 같은 차세대 센서 플랫폼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초박막 반도체와 혁신적인 소재 공정을 활용하여, 칩리스 무선 전자피부, 고감도 스트레인 센서, 장기간 신뢰성 있는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웨어러블 헬스케어, 스마트 로보틱스, 재활 및 의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뉴로모픽 메모리 및 이종 집적 패키지 기술 역시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멤리스터 기반 인공 시냅스 소자, 3차원 적층형 이종 집적 칩, 광전자 소자 어레이 등 첨단 하드웨어 기술을 개발하여, 대규모 병렬 데이터 처리와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패키지의 발열 모델링, 방열 아키텍처, 신뢰성 진단 등 패키지 전반에 걸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처럼 연한울 연구실은 신소재공학을 기반으로 반도체, 인공지능, 바이오센서, 패키지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형 지능형 시스템과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