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동호 연구실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이동호 교수

Anti-inflammatory Agents

Anticancer Compounds

Estrogenic Effects

이동호 연구실

생명공학부 이동호

이동호 연구실은 식물생명공학과를 기반으로 천연물 유래 신약 후보 물질의 발굴과 기능성 소재 개발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식물, 미생물, 해양생물 등 다양한 생물 자원에서 새로운 생리활성 화합물을 분리·동정하고, 이들의 화학적 구조와 생물학적 활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항암, 항염, 항바이러스, 항산화, 신경보호 등 다양한 질환 타겟에 대한 활성 물질을 다수 확보하여, 신약 개발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사체 분석(metabolomics), 분자네트워킹(molecular networking), AI 기반 구조 예측 등 첨단 융합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천연물 소재의 신속한 탐색과 구조 동정, 생합성 경로 규명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통적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신규 활성 물질을 발굴할 수 있으며,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능성 소재 개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실은 천연물 기반 신약 개발, 건강기능식품, 친환경 농업·환경 소재, 항바이러스 및 항균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 성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SCI 논문, 특허,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산업화 및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또한, 연구실은 극지 미생물, 식용 및 약용식물, 해양생물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소재 발굴 프로젝트와, 멀티오믹스 및 AI 기반 천연물 탐색 시스템 고도화 등 국가적 R&D 과제를 수행하며,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류 건강 증진과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nti-inflammatory Agents
Anticancer Compounds
Estrogenic Effects
천연물 기반 신약 후보 물질 발굴 및 구조 분석
이동호 연구실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의 발굴과 구조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식물, 미생물, 해양생물 등 다양한 생물 자원에서 새로운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적 구조를 NMR, MS, ECD 등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해 규명합니다. 특히, 분자네트워킹 및 대사체 분석 등 최신 오믹스 기반 기술을 접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신규 활성 물질을 탐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암, 항염, 항바이러스, 항산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신약 후보 물질의 발굴로 이어집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통해 천연물 유래 화합물의 항암, 항염증, 신경보호, 항바이러스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의 작용 기전까지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리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평가와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신약 개발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천연물 소재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천연물 기반 신약 개발의 전주기적 연구를 선도하며,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사체 분석 및 분자네트워킹을 통한 기능성 소재 개발
이동호 연구실은 대사체 분석(metabolomics)과 분자네트워킹(molecular networking) 기술을 활용하여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있습니다. LC-MS, GC-MS, NMR 등 첨단 분석장비를 이용해 식물, 미생물, 해양생물 등 다양한 자원의 대사체를 정밀하게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생리활성 물질의 구조 동정과 생합성 경로를 규명합니다. 분자네트워킹 기법은 복잡한 천연물 혼합물 내에서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 군집을 시각화하고, 신규 활성 물질의 신속한 선별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기존의 전통적 분리·동정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유망한 기능성 소재를 발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극지 미생물, 식용 및 약용식물, 해양생물 등 다양한 자원에서 항암, 항염, 항산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신규 물질을 다수 확보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와 작용 기전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기반 구조 예측 및 오믹스 데이터 통합 분석 등 최신 융합기술을 도입하여, 천연물 소재의 산업적 활용과 신약 개발, 건강기능식품, 농업·환경 분야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바이오산업의 혁신적 기능성 소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Two new compounds from<i> Apiospora</i><i> xenocordella</i> culture medi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TNF-α-induced ROS generation and MMP-1 secretion
이동호
PHYTOCHEMISTRY LETTERS, 202502
2
Cycloartane-type triterpenoids from Combretum quadrangulare Kurz with PCSK9 secretion inhibitory activities
이동호
PHYTOCHEMISTRY, 202502
3
Targeted isolation of dimeric sesquiterpene lactones and sesquiterpene derivatives from the roots of<i> Inula</i><i> helenium</i>
이동호
PHYTOCHEMISTRY, 202501
1
멀티오믹스 및 AI 구조 분석 기법 기반 천연물 탐색 시스템 고도화
한국연구재단
2024년 05월 ~ 2025년 04월
2
대사체 분석 및 분자네트워킹 분석기법 기반 극지미생물 유래 바이오소재 발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2024년 03월 ~ 2024년 12월
3
(위탁과제)방풍류 재배환경에 따른 부위별 유용물질 탐색 및 구조 동정
국립산림과학원
2023년 05월 ~ 2023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