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재활의학 및 림프부종 치료
재활의학은 신체적 장애나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의학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림프부종, 뇌졸중, 척수손상,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재활 대상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림프부종은 유방암 수술 등으로 인해 림프 순환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만성 부종 질환으로, 환자의 신체적 불편뿐 아니라 심리적 고통도 동반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체외충격파 치료(ESWT), 림프정맥문합술(LVA),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CT) 기반의 진단 및 치료 효과 평가 등 다양한 최신 치료법을 임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림프정맥문합술의 장기적 효과와 압력 감소,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ESWT의 임상적 유효성, 조직 탄성도 변화, 부종 감소 효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림프부종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가이드라인 수립과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술대회와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재활의학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 재활치료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 재활 및 인공지능 기반 재활 플랫폼 개발
본 연구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현실(VR)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재활 플랫폼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차세대 운동 플랫폼, 손 떨림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맞춤형 재활 치료 게임, 가상 산림환경에서의 재활운동 효과 분석 등 다양한 융합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계학습 기반의 뇌졸중 및 파킨슨 환자 맞춤형 하지 재활치료 로봇 시스템, 보행보조 로봇의 운동학적 특성 평가, IMU(관성측정장치) 기반 보행 분석 시스템, 마커리스(Markerless) 보행 분석 등 환자 맞춤형 재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환자의 운동 패턴과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의 재활 치료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장기요양시설의 기능회복훈련 서비스 표준화, AI 기반 건설 근로자 상태 스크리닝 시스템, 건강노화 및 맞춤 재활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와 고령자, 산업 현장 근로자를 위한 재활 및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재활의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환자와 사회 모두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혁신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