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하석 연구실
의과대학 배하석
배하석 연구실은 재활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림프부종, 뇌졸중, 척수손상,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신체적 장애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체외충격파 치료, 림프정맥문합술, 초음파 및 CT 기반 진단 등 최신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현실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재활 플랫폼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차세대 운동 플랫폼, 손 떨림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맞춤형 재활 치료 게임, 가상 산림환경에서의 재활운동 효과 분석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재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요양시설의 기능회복훈련 서비스 표준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AI 기반 건설 근로자 상태 스크리닝 시스템, 건강노화 및 맞춤 재활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사회적 약자와 고령자, 산업 현장 근로자를 위한 재활 및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치료와 예방, 사회적 약자 지원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 수행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재활의학 분야의 학문적·실용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술대회와 국제 컨퍼런스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국내외 재활의학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배하석 연구실은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통합적 재활치료 모델 개발과 첨단 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적 재활의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재활의학의 미래를 선도하고, 환자와 사회 모두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Sarcopenia
Rehabilitation Services
Gait Training
재활의학 및 림프부종 치료
재활의학은 신체적 장애나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의학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림프부종, 뇌졸중, 척수손상,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재활 대상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림프부종은 유방암 수술 등으로 인해 림프 순환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만성 부종 질환으로, 환자의 신체적 불편뿐 아니라 심리적 고통도 동반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체외충격파 치료(ESWT), 림프정맥문합술(LVA),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CT) 기반의 진단 및 치료 효과 평가 등 다양한 최신 치료법을 임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림프정맥문합술의 장기적 효과와 압력 감소,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ESWT의 임상적 유효성, 조직 탄성도 변화, 부종 감소 효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림프부종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가이드라인 수립과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술대회와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재활의학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 재활치료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재활 및 인공지능 기반 재활 플랫폼 개발
본 연구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현실(VR)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재활 플랫폼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차세대 운동 플랫폼, 손 떨림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맞춤형 재활 치료 게임, 가상 산림환경에서의 재활운동 효과 분석 등 다양한 융합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계학습 기반의 뇌졸중 및 파킨슨 환자 맞춤형 하지 재활치료 로봇 시스템, 보행보조 로봇의 운동학적 특성 평가, IMU(관성측정장치) 기반 보행 분석 시스템, 마커리스(Markerless) 보행 분석 등 환자 맞춤형 재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환자의 운동 패턴과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의 재활 치료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장기요양시설의 기능회복훈련 서비스 표준화, AI 기반 건설 근로자 상태 스크리닝 시스템, 건강노화 및 맞춤 재활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와 고령자, 산업 현장 근로자를 위한 재활 및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재활의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환자와 사회 모두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혁신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1
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in elderly Koreans
심경원, 이상화, 유인선, 전혜진, 배하석, 손여주, 강희철, 이홍수, 장은지, 강성찬
PLOS ONE, 202410
2
Protective effects of extracorporeal shockwave on rat chondrocyte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preclinical evaluation with in vivo Tc-99m-HDP SPECT and ex vivo micro-CT
Kim Y.-H., Bang J.-I., Son H.-J., Kim Y., Kim J.H., Bae H., Han S.J., Yoon H.-J., Kim B.S.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01911
3
Laryngeal myofascial pain syndrome as a new diagnostic entity of dysphonia
Jung, Soo Yeon, Park, Hae Sang, Bae, Hasuk, Yoo, Jeong Hyun, Park, Hyung Jun, Park, Kee Duk, Kim, Han Su, Chung, Sung Mm
AURIS NASUS LARYNX, 201704
1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준지도학습 AI 기반 건설 근로자 상태 스크리닝 시스템
2
급성기 환자 퇴원지원,재활의료기관 수가 시범사업효과평가 및 모형개선 연구용역(수의시담)
3
건강노화 및 맞춤 재활을 위한 AI기반 차세대 운동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