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종인 연구실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이종인 교수

Overtopping Flow

Tsunami Analysis

Submerged Breakwaters

이종인 연구실

토목공학과 이종인

이종인 연구실은 해안 및 항만 구조물의 월파, 파압, 그리고 구조물 안정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표적인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은 경사식구조물, 직립식구조물, 혼성식구조물 등 다양한 해안 및 항만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랑 하중 특성, 월파량, 파압, 낙하파압, 양압력 등 다양한 하중의 실험적·수치적 분석을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해역 조건을 모사한 2차원 및 3차원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 적용이 가능한 경험식 및 설계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압력-유속 관계, 기포영상유속기법 등 첨단 계측기술을 활용한 월파량 정량 관측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설계 기준의 보완과 현장 적용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중구조물(잠제, 인공리프 등) 및 다양한 피복재(테트라포드, 피복석, Tripod 등)의 안정성, 파고전달계수, 반사계수, 그리고 유공케이슨, 유공벽 등 특수 구조물의 수리특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 피복재의 종류와 배치, 사면경사, 상대여유고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과 파랑전달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여, 실무 적용이 가능한 경험식과 설계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항만 및 해안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 재해 예방,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파랑 대응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도출된 경험식과 설계법은 실제 항만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종인 연구실은 앞으로도 해안 및 항만 구조물의 안전성, 내구성, 그리고 재해 대응력 향상을 위한 첨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해안·항만공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Overtopping Flow
Tsunami Analysis
Submerged Breakwaters
해안 및 항만 구조물의 월파 및 파압 특성 연구
이종인 연구실은 해안 및 항만 구조물에 작용하는 월파 및 파압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사식구조물, 직립식구조물, 혼성식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 형상과 파랑 조건에서의 월파량, 수평파압, 양압력, 낙하파압 등 구조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 특성을 실험적·수치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와 설계 기준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실제 해역 조건을 모사한 2차원 및 3차원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규칙파 및 불규칙파 조건에서 경사식구조물의 상치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파압 산정, 월파에 의한 구조물 배후면의 낙하파압, 그리고 피복재 어깨폭이 파압에 미치는 영향 등 실무적으로 중요한 설계 변수에 대한 경험식 도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월파량의 정량적 예측을 위한 새로운 계측 방법론(예: 압력-유속 관계, 기포영상유속기법 등)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설계 기준의 보완과 현장 적용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의 성과는 항만 및 해안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 재해 예방,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파랑 대응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도출된 경험식과 설계법은 실제 항만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중구조물 및 피복재의 안정성 및 파랑전달 특성 연구
연구실은 수중구조물(잠제, 인공리프 등) 및 다양한 피복재(테트라포드, 피복석, Tripod 등)의 안정성과 파랑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 피복재의 종류와 배치, 사면경사, 상대여유고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피복재의 안정계수, 파고전달계수, 반사계수 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 적용이 가능한 경험식을 제시합니다. 특히, 테트라포드와 같은 콘크리트 이형블록을 이용한 경사식구조물, 저 마루높이 구조물, 곡면부 및 오목부 구간 등 특수한 구조적 환경에서의 피복재 안정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투과형 및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에서의 파랑전달 특성, 유공케이슨의 반사특성, 유공벽의 두께와 슬릿 형상에 따른 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 등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연안 침식 방지, 항만 및 해안 구조물의 장기적 안정성 확보,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파랑 및 재해 대응력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설계법과 경험식은 국내외 항만 및 해안 구조물 설계 기준에 반영되고 있으며,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해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1
Experimental Study of Wave Overtopping Flow Behavior on Composite Breakwater
이종인, 류용욱, ADIBHUSANA MADE NARAYANA
WATER, 202312
2
Study of Overtopping Flow Velocity and Overtopping Layer Thickness on Composite Breakwater under Regular Wave
류용욱, 김영택, 이종인, ADIBHUSANA MADE NARAYANA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202304
3
Reflection of Irregular Waves from Perforated-wall Structures when the Chamber is Filled with Rocks
Young Taek Kim, 이종인, 이종인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02110
1
극한/복합 자연재해 대비 원전 구조물/기기 안전성 향상 및 실증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
2
월파 정량 관측 기술 개발(1단계 3년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4년 ~ 2024년 12월
3
항만 외곽시설 안전성 확보를 위한 파력계측 용역(3차)
해양수산부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