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석 연구실
식품공학과 이민석
이민석 연구실은 식품 미생물 안전성, 위해요소 관리, 천연 항균소재 개발, 친환경 살균기술 등 식품공학과 생명공학의 융합적 연구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이다. 본 연구실은 식품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 및 식중독 위험을 정량적·정성적으로 평가하고, 주요 식중독균의 분포, 생존, 증식, 사멸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환경부 등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국가 식품안전 정책 및 기준 마련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식품 내 미생물의 내성, 바이오필름 형성, 스트레스 반응 등 미생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정량적 위해평가(QMRA) 및 예측모델 개발을 통해 식품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소비자 행동에 따른 미생물 위험성 평가, 가정 내 식품 취급 및 조리·보관 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등 실제 생활과 밀접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천연 항균소재 및 친환경 살균기술 개발 분야에서는, 기존의 합성 화학물질이나 고온·고압 처리 대신, 식품에 적용 가능한 천연물 기반의 항균 조성물과 복합 살균법을 연구한다. 피틴산, 카프릴산, 시트르산, 에센셜 오일 등 다양한 천연 항균소재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하여, 식품 품질 저하 없이 미생물 오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필름 형성균, 내성균, 저온·저수분 환경에서의 미생물 제어 등 산업 현장 및 가정, 우주환경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주식량, 맞춤형 화장품, 신종 감염병 등 미래 사회의 새로운 식품 안전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빅데이터 기반의 미생물 위해예측, 신종 병원균 및 잠재적 위해세균의 탐색, 식품 중 독소형 식중독균의 독소단백질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글로벌 식품안전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국내외 특허, 기술이전, 산업체 협력, 정부 정책 자문 등으로 연구성과를 확산시키며, 미래 식품안전 및 공중보건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Microbial Control
Eco-friendly Disinfectants
Food Safety
식품 미생물 안전성 및 위해요소 관리
식품 미생물 안전성 연구는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 및 식중독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육류, 수산물, 채소, 유제품, 곡류 등)과 가공식품, 그리고 신선식품 및 즉석섭취식품을 대상으로 미생물 오염 실태를 정량적·정성적으로 조사하고, 주요 식중독균(예: Salmonella, Listeria, Bacillus cereus, Cronobacter, Vibrio 등)의 분포, 생존, 증식, 사멸 특성을 규명한다. 또한, 식품 내 미생물의 내성, 바이오필름 형성, 스트레스 반응 등 미생물의 생리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식품 환경에서의 위해요소를 과학적으로 평가한다.
이 연구는 미생물 위해요소의 정량적 위해평가(QMRA) 및 예측모델 개발을 통해 식품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HACCP 등 현장 적용이 가능한 위생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식품 제조 및 유통 단계별로 미생물 오염 경로와 주요 교차오염 요인을 규명하고, 소비자 행동(예: 가정 내 식품 취급, 조리, 보관 등)에 따른 미생물 위험성도 함께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환경부 등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국가 식품안전 정책 및 기준 마련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주식량, 맞춤형 화장품, 신종 감염병 등 미래 사회의 새로운 식품 안전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빅데이터 기반의 미생물 위해예측, 신종 병원균 및 잠재적 위해세균의 탐색, 식품 중 독소형 식중독균의 독소단백질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글로벌 식품안전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
천연 항균소재 및 친환경 살균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식품 및 환경에서의 미생물 제어를 위해 천연 항균소재와 친환경 살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의 합성 화학물질이나 고온·고압 처리 대신, 식품에 적용 가능한 천연물 기반의 항균 조성물(예: 피틴산, 카프릴산, 시트르산, 에센셜 오일, 유기산 등)과 이들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한 복합 살균법을 연구한다. 이러한 기술은 식품의 품질 저하 없이 미생물 오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소비자 선호와 환경 친화적 요구에 부합한다.
특히, 아몬드, 견과류, 신선 채소, 해산물, 분유 등 다양한 식품에서의 살모넬라, 대장균, 리스테리아, 크로노박터 등 주요 식중독균의 신속한 제어를 위한 살균공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바이오필름 형성균, 내성균, 저온·저수분 환경에서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실험실 및 현장(공장, 가정, 우주환경 등)에서 검증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저농도 에탄올과 천연 항균물질의 시너지, 친환경 살균제(살생물제) 개발, 식품 및 생활용품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항진균·항바이러스 복합체 개발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통해, 식품산업 및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적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기술이전, 산업체 협력, 정부 정책 자문 등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래 식품안전 및 공중보건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microbial biofilms in washing machine: the effect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ser-associated information.
H.W. Kim, H. Yu, Y. Kim, S. Park, J. Son, I.G. Choi, M.S. Rhee*
Sci. Total Environ., 2025
2
Synergistic antifungal effect of naturally-derived antimicrobials with penetration enhancer against Candida albicans biofilm at 5 °C and 22 °C.
B.S. Ko, S.G. Park, M.S. Rhee*
J. Infect. Public Heal., 2025
3
Bacterial characterization of retail seasoned dried seafood using culture-based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approaches: Implications for food quality and safety.
S.A. Kim, G.H. Ban, T.J. Cho, M.S. Rhee, S.A. Kim
Food Biosci., 2025
1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터널링 나노튜브 연구센터 ( 센터장 , 고영규 )
2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로서 MG53-IRS-1 결합억제제의 개발 ( 연구책임자 , 고영규 )
3
식품 중 독소형 식중독균의 독소단백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