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전종배 연구실

동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전종배 교수

전종배 연구실은 신소재공학 분야에서 금속 적층제조 및 미세조직 제어, 고강도·고인성 금속소재 개발 등 첨단 금속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레이저 파우더 베드 퓨전(LPBF), 직접 에너지 적층(DED) 등 첨단 적층제조 공정을 활용하여, 니켈계 초합금, 고망간강, 마그네슘 합금 등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미세조직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적층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잔류응력, 기공, 균열 등 결함의 원인 규명과 제어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EBSD, TEM,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등 첨단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미세조직-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고신뢰성·고성능 금속 부품의 제조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강도와 고인성을 동시에 갖춘 금속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고망간강, 인코넬718, 스테인리스강 등 다양한 합금계에서 열처리, 냉간가공, 표면개질, 석출강화 등 다양한 공정 조건을 적용하여, 극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입자 접종, 합금 설계, 표면 개질 등 다양한 미세조직 제어 기법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소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국방, 원자력, 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금속소재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경로로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미래 금속 소재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전종배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금속 적층제조 기술과 미세조직 제어, 고성능 금속소재 개발을 통해 신소재공학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실험과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연구를 융합하여, 차세대 금속소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