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전종배 연구실

동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전종배 교수

전종배 연구실

신소재공학과 전종배

전종배 연구실은 신소재공학 분야에서 금속 적층제조 및 미세조직 제어, 고강도·고인성 금속소재 개발 등 첨단 금속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레이저 파우더 베드 퓨전(LPBF), 직접 에너지 적층(DED) 등 첨단 적층제조 공정을 활용하여, 니켈계 초합금, 고망간강, 마그네슘 합금 등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미세조직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적층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잔류응력, 기공, 균열 등 결함의 원인 규명과 제어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EBSD, TEM,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등 첨단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미세조직-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고신뢰성·고성능 금속 부품의 제조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강도와 고인성을 동시에 갖춘 금속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고망간강, 인코넬718, 스테인리스강 등 다양한 합금계에서 열처리, 냉간가공, 표면개질, 석출강화 등 다양한 공정 조건을 적용하여, 극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입자 접종, 합금 설계, 표면 개질 등 다양한 미세조직 제어 기법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소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국방, 원자력, 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금속소재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경로로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미래 금속 소재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전종배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금속 적층제조 기술과 미세조직 제어, 고성능 금속소재 개발을 통해 신소재공학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실험과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연구를 융합하여, 차세대 금속소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첨단 금속 적층제조 및 미세조직 제어
전종배 연구실은 금속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및 미세조직 제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 파우더 베드 퓨전(Laser Powder Bed Fusion, LPBF)과 직접 에너지 적층(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공정을 통해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미세조직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 향상을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니켈계 초합금, 고망간강, 마그네슘 합금 등 고성능 금속 소재의 적층제조 공정 최적화와 미세조직 미세화, 등축화, 결정립 제어 등 미세구조적 혁신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적층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잔류응력, 기공, 균열 등 결함의 원인 규명과 제어 기술 개발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유한요소 해석,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EBSD(전자 후방산란 회절) 등 첨단 분석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공정-미세조직-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합니다. 이를 통해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국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신뢰성, 고성능 금속 부품의 제조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나노입자 접종, 합금 설계, 표면 개질 등 다양한 미세조직 제어 기법을 개발하여, 기존 금속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대회 및 특허 출원,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활발히 확산되고 있으며, 미래 금속 소재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고강도·고인성 금속소재 개발 및 기계적 특성 향상
연구실은 고강도와 고인성을 동시에 갖춘 금속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망간강, 인코넬718, 마르에이징강, 스테인리스강 등 다양한 합금계에서 열처리, 냉간가공, 표면개질, 석출강화 등 다양한 공정 조건을 적용하여,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극저온, 고온, 고압 등 극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고망간강의 석출강화기구 규명, 인코넬718의 결정립 미세화 및 등축화, 표면 크래킹 기법을 통한 저온 충격인성 향상, 냉간가공 및 후열처리에 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성 및 인성 증진 등이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 우주항공, 자동차, 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금속소재 개발을 위해,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병행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금속소재의 내마모성, 내식성, 수소취성 저감, 자기적 특성 등 다양한 기능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산업체와의 협력, 정부과제 수행, 특허 출원 등 실용화 연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차세대 금속소재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Effects of laser-beam diameter on melt pool characteristics and grain formation in Fe-3.4 wt%Si alloy made by powder bed fusion
전종배, 장호성, 김수헌, 박건우, 김동휘, 최윤석, 신선미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and Technology, 202505
2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ire Laser Additive Manufactured Deposits and Their Tungsten Inert Gas Welds
전종배, 심영래, 김종근, 조덕현, 양희평, 윤승욱, 유운용, 이협, 어두림, 윤종천, 신선미, 정중은
MATERIALS, 202503
3
Precipitate phase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Inconel 718 according to aging heat treatment time
전종배, 이강호, 김병구, 박민하, 노상훈, 김병준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STRUCTURAL MATERIALS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PROCESSING, 202502
1
[1차년도] 저소음 Mn-Cu 제진 합금 추진기 핵심기술 개발
국방기술진흥연구소
2023년 12월 ~ 2023년 12월
2
[2단계1차년도]초고강도 소재성형을 위한 HRC 60급 금형강용 금속분말 국산화 제조기술 및 이종금속 적층제조 기술 개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023년 ~ 2023년 12월
3
지능형 단조시스템 기반 극한환경용 고부가가치 단조 플랜지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2년 09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