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우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김진우
김진우 연구실은 치의학과 내에서 근관치료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치아 내부의 감염 및 손상된 치수 조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여 치아를 보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최신 임상 지침과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미성숙 전치의 근관치료, 비외과적 근관치료, 의도적 재식술 등 다양한 임상적 접근법을 통해 복잡한 치아 구조와 병변에 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첨단 치과현미경, CBCT 등 최신 장비를 활용하여 근관 내 구조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관 내 미세구조의 변이, 추가 근관 탐지, 치근파절 및 치근단 병소의 정밀 진단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근관치료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니켈-티타늄 파일 시스템과 초음파 세정 기술의 효율성 비교, 근관세척제의 효과 분석 등 기초 및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축입니다. 칼슘실리케이트 계열 실러, 레진계 실러, 복합레진 및 치아 고정재료 등 다양한 재료의 성능과 생체적합성, 미세누출 방지 능력, 조직 반응 등을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근관치료의 예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재료 선택과 사용법의 표준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김진우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과 저서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임상가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회 및 학술대회에서 활발히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근관치료학의 표준화와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근관치료의 임상적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중심의 치료법 개발, 재료의 안전성과 효율성 향상, 그리고 치의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Dental Adhesives
Tooth Whitening
Dentin Bonding
근관치료학의 임상적 발전과 최신 치료법
근관치료학은 치아 내부의 감염이나 손상된 치수 조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여 치아를 보존하는 데 중점을 둔 치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김진우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 증례와 연구를 통해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중심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미성숙 전치의 근관치료, 비외과적 근관치료, 의도적 재식술 등 다양한 임상적 접근법을 통해 복잡한 치아 구조와 병변에 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최신 치과현미경과 CBCT(콘빔 컴퓨터 단층촬영)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근관 내 구조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관 내 미세구조의 변이, 추가 근관(MB2 등) 탐지, 치근파절 및 치근단 병소의 정밀 진단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근관치료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니켈-티타늄 파일 시스템과 초음파 세정 기술의 효율성 비교, 근관세척제의 효과 분석 등 기초 및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임상 및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근관치료학 실습지침서, 임상가를 위한 비외과적 근관치료의 길라잡이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임상가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김진우 연구실의 연구는 근관치료의 표준화와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치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근관치료 재료 및 생체적합성 연구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재료의 선택과 그 생체적합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김진우 연구실은 칼슘실리케이트 계열 실러, 레진계 실러, 다양한 복합레진 및 치아 고정재료 등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칼슘실리케이트 실러의 재치료 가능성, 근관 내 충전재의 미세누출, 실러가 하악골 조직에 미치는 영향 등 재료의 성능과 생체 반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에서는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병행하여 근관치료 재료의 조직 반응, 골재생 효과, 미세누출 방지 능력 등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칼슘실리케이트 계열 실러가 흰쥐의 하악골 조직에 미치는 영향, 다양한 근관 건조 방법에 따른 실러의 밀폐력 변화, 재치료용 NiTi 파일의 효율성 등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복합레진의 중합 방법, 치아 고정재료의 접착강도, 레진시멘트의 보관 조건 등이 임상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근관치료의 예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재료 선택과 사용법의 표준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김진우 연구실의 연구 결과는 임상가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다양한 형태이상을 가진 미성숙 전치의 근관치료: 증례보고
김진우, 박세희, 조경모, 이윤, 김현지
Endodontics &Dental Rehabilitation, 202411
2
nanoleakage of apical sealing using a calcium silicate-based selaer according to canal drying methods
조경모, 김진우, 박세희, 이윤, 이윤조
Resto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RDE), 202405
3
A study on nanoleakage of apical retrogradefilling of premixed calcium silicate-based cement using a lid technique
nyamsuren, 김진우, 장석우, 박세희, 조경모, 이윤
Materials, 202405
1
Implant 대합치/인접치에서의 치아 손상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