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방사선 치료의 임상적 적용 및 치료 전략 최적화

설기호 연구실은 다양한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의 임상적 효과와 치료 전략의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식도암, 폐암 등 여러 암종에서 방사선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림프절 크기에 따른 치료 실패율과 생존율의 차이를 규명하여, 림프절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 보다 적극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함을 밝혔습니다. 또한, 방사선 치료의 범위와 용량 조절을 통한 부작용 최소화와 치료 효과 극대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경부암과 비인두암 환자에서 선택적 림프절 방사선 조사 범위 축소가 안전한지, 그리고 치료 실패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면서도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하는 해부학적 변화에 따라 치료 계획을 적응적으로 수정하는 '적응 방사선 치료'의 임상적 유용성도 평가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체적 변화나 장기 위치 변화에 따라 방사선 선량 분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영상 촬영과 치료 계획 수정이 치료 효과와 안전성 향상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방사선 치료의 정밀의학적 접근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영상 융합 및 첨단 방사선 치료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PET/CT, 3차원 CT 혈관조영술 등 첨단 영상 기술을 방사선 치료 계획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종양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 전이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도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중 PET/CT를 활용하여 종양의 대사적 변화와 치료 반응을 실시간으로 평가함으로써, 치료 계획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영상 융합 기술은 치료 효과 예측과 부작용 감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사선 치료의 물리적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보조기구 및 측정 장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루스 대체용 수제 빌드업 모디파이어의 특성 평가, 2차원 배열형 이온함의 부피효과가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 선량분포 측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은 방사선 치료의 정밀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3차원 CT 혈관조영술을 활용한 재발성 자궁경부암의 구제적 림프절 절제술 사례 보고 등, 영상 기술과 외과적 치료의 융합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영상 기술로는 어려웠던 해부학적 구조의 명확한 구분과 수술 계획 수립이 가능해져, 치료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