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준범 연구실

삼육대학교 약학대학

박준범 교수

박준범 연구실

약학대학 박준범

박준범 연구실은 약학과를 기반으로 생물약제학 및 약물송달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 개선, 생체이용률 향상, 약물의 체내 동태 최적화 등 다양한 약물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혁신적인 제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고온용융압출, 고체분산체, 나노입자화, 리포좀, 서방정, 위체류 제형 등 다양한 약물송달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환자 맞춤형 의약품 제조 연구는 본 연구실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입니다.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개발, 구강붕해 필름, 위체류 정제, 다층정 등 다양한 맞춤형 제형을 개발하여, 환자의 연령, 질환, 복용 편의성에 따라 최적화된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복합질환 환자, 소아 및 노인 환자 등 다양한 환자군에 맞춘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미래 의약품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분석기법과 실험적 접근을 통해 제형의 품질, 안정성, 약물 방출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약물의 결정성 변화, 분자 간 상호작용, 미세구조 분석, 생체적합성 평가 등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제형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생체이용률이 낮거나 부작용이 큰 약물의 경우,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약물송달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신약 개발, 개량신약, 복합제제, 환자 맞춤형 제형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 등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국내외 제약산업 및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성과를 실용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신약 개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박준범 연구실은 앞으로도 약물송달학 및 생물약제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와 차세대 의약품 개발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생물약제학 및 약물송달 시스템 개발
생물약제학은 약물의 체내 동태와 약물 전달 시스템의 효율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박준범 연구실은 다양한 약물의 생체이용률 향상과 체내 흡수 조절을 위한 혁신적인 제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 개선과 체내 흡수율 증진을 위해 고온용융압출(hot-melt extrusion), 고체분산체, 나노입자화, 리포좀 등 다양한 약물송달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약물의 약효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약물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약물송달 시스템을 설계하고, 약물의 방출 속도, 용해도, 안정성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고온용융압출 기술을 활용한 고체분산체 개발을 통해 난용성 약물의 용출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pH-독립적 방출 제형, 서방정, 위체류 제형 등 다양한 제형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의 결정성 변화, 분자 간 상호작용, 미세구조 분석 등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제형의 품질과 안정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약 개발뿐만 아니라 기존 약물의 개량신약 개발, 복합제제, 환자 맞춤형 제형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생체이용률이 낮거나 부작용이 큰 약물의 경우,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약물송달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및 환자 맞춤형 의약품 제조
박준범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의약품 제조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은 복합제제, 다층정, 복수 약물 동시 투여 등 기존 제형으로는 구현이 어려운 맞춤형 의약품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입니다. 연구실에서는 고온용융압출 기반의 필라멘트 제조, 3D 프린터를 이용한 구강붕해 필름, 위체류 정제, 이중 방출 제형 등 다양한 맞춤형 제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환자의 연령, 질환, 복용 편의성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제형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3D 프린팅을 통해 약물 용량, 방출 속도, 제형 크기 및 모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리피프라졸을 포함한 3D 프린트 구강붕해 필름, 위체류 이중정, QR코드가 삽입된 식별 가능한 필름 등 혁신적인 제형 개발을 통해 환자 복약 순응도와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3D 프린팅 기반 제형의 물리적 특성, 약물 방출 특성, 생체적합성 등을 다각도로 평가하여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의 환자 맞춤형 치료, 복합질환 환자 대상 복합제제 개발, 신속한 신약 개발 및 임상시험용 제형 제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박준범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술과 약제학적 전문성을 융합하여, 차세대 의약품 제조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Polyelectrolyte-based solid dispersions for enhanced dissolution and pH-Independent controlled release of sildenafil citrate
Woo J.-H., Ngo H.V., Nguyen H.D., Gil M.-C., Park C., Park J.-B., Cui J.-H., Cao Q.-R., Lee B.-J.
Heliyon, 202312
2
Cellular Efficacy of Fattigated Nanoparticles and Real-Time ROS Occurrence Using Microfluidic Hepatocarcinoma Chip System: Effect of Anticancer Drug Solubility and Shear Stress
Kim H., Kim E.-J., Ngo H.V., Nguyen H.D., Park C., Choi K.H., Park J.-B., Lee B.-J.
Pharmaceuticals, 202309
3
Development of fixed-dose combination with dual-release properties using double-melt extrusion technology
Seo Hee-Kyung, Park Chulhun, Oh Hye-Sung, Park Il-Ho, Kang Chin-Yang, Lee Beom-Jin, Pena Ike de la, Weon Kwon-Yeon, Park Jun-Bom
JOURNAL OF DRUG DELIVERY SCIENCE AND TECHNOLOGY, 202309
1
한국연구재단-Double melt extrusion 기술을 이용한 3D 프린트용 dual action 필라멘트의 개발 및 환자맞춤형 복합정제의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2년 06월 ~ 2025년 02월
2
고온용융압출법을 이용한 크기가 줄어든 메트포르민 서방정제의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9년 06월 ~ 2022년 02월
3
고온용융압출법과 3D프린터를 적용한 환자중심적 의약품의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7년 03월 ~ 2020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