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대학교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유찬영 교수
유찬영 연구실은 신소재공학전공을 기반으로 전자세라믹스 및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기술을 활용한 첨단 전자소자용 신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의 정밀한 박막 성장과 특성 제어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ALD 공정의 정밀성과 소재 조성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고성능·고신뢰성 소자 구현을 위한 혁신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실에서는 망간 텔루라이드, 게르마늄 텔루라이드, 하프늄 산화물, 인듐 산화물 등 다양한 전자세라믹스 소재의 박막 증착 및 특성 분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박막의 결정 구조, 표면 특성, 전기적 성능 등 소자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핑 및 합금화 기술을 접목하여 소재의 물성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차세대 소자 개발에 필요한 맞춤형 소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뉴로모픽 하드웨어 및 고집적 집적 소자 개발입니다. 오보닉 스위치 기반 나노 오실레이터, 스택형 신경망 소자 등 신경모방 소자에 적합한 신소재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및 고속 신호처리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신소재 박막의 성장과 특성 제어를 통해, 소자의 임계 전압, 오프 전류, 내구성 등 주요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집적 3차원 집적회로, 백엔드 오브 라인 호환 트랜지스터,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공정-소자-시스템의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혁신적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으며, 미래 정보통신 산업의 핵심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찬영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1000 TOPS/W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엔드-투-엔드 아날로그 뉴로모픽 소자, 알고리즘, 아키텍처 개발 등 국가적 전략 과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소재공학과 전자공학의 융합을 선도하며, 차세대 정보기술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