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nbpl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진형준 교수

진형준 교수 연구실은 고분자공학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와 친환경 소재 개발을 선도하는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하드카본 등 다양한 탄소 기반 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기능화 연구를 통해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 다양한 이차전지 및 슈퍼커패시터의 고성능 전극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 소재, 실크, 셀룰로오스 등 천연 고분자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는 3차원 구조의 탄소 전극, 이종원소 도핑, 고분자 바인더 설계, 고체 및 하이브리드 전해질 계면 공학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금속 음극의 안정적 금속 침착, 덴드라이트 억제, 고속 충방전, 장수명 사이클 특성 향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레독스 흐름전지, 슈퍼커패시터 등 다양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의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 메커니즘 규명, 촉매 활성 향상, 고출력/고에너지 밀도 구현을 위한 소재 및 구조 설계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분야에서는 폴리락트산(PLA),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등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셀룰로오스, 세리신, 실크피브로인 등 천연 고분자를 활용하여, 포장재, 어구, 의료용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해양 및 퇴비 환경에서의 생분해도 평가, 미세플라스틱 저감, 생분해성 어구의 실제 어업 현장 적용 등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분자 복합재료, 나노셀룰로오스, 그래핀, 실크 등과의 복합화를 통해 기계적 강도, 내수성, 가스배리어성, 항균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고기능성 친환경 소재 개발, 고분자 바인더의 결정성 및 계면 특성 제어를 통한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 및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등 다양한 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진형준 교수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 논문, 산학협력 및 정부과제 수행을 통해 에너지·환경 융합 소재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높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으며, 미래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