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건 연구실

원광대학교 의학과

박건 교수

박건 연구실

의학과 박건

박건 연구실은 의학과 피부과 분야에서 다양한 피부 질환의 진단, 치료 및 기초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피부암, 피부 종양, 피부 감염, 염증성 피부질환, 손발톱 질환 등 광범위한 임상적 주제를 다루며, 최신 진단기법과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부암 및 피부 종양에 대한 임상 및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피부암(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피부내암 등)과 드문 피부 종양에 대한 증례 연구와 수술적 치료법, 보조적 치료법의 효과 분석을 통해 환자 예후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조직염, 괴사성 근막염, 옴 감염 등 피부 감염 질환과 염증성 피부질환의 임상 양상, 치료 반응, 예후 예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예후 예측, 항생제 내성 분석, 새로운 치료제의 임상 적용 등 실질적인 임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손발톱 질환 및 피부 재생 분야에서도 수술적 교정법, 조직검사법, 재생 촉진제의 임상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항암제 유발 손발톱 손상 회복, 피부 이식 및 흉터 평가, 피부 재생 신물질의 효능 평가 등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박건 연구실은 임상 현장과 연계된 실용적 연구와 기초과학적 탐구를 병행하며, 국내외 피부과학 발전과 환자 치료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피부 종양 및 피부암의 진단과 치료
본 연구실은 다양한 피부 종양 및 피부암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피부내암, 그리고 드물게 발생하는 피부 암육종 등 다양한 악성 및 양성 피부 종양에 대한 임상적, 병리학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최신 진단기법과 조직학적 분석,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피부 종양의 발생 기전과 특성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부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조적 치료법(예: 광역학치료, 국소 약물치료 등)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임상 현장에서 얻은 다양한 증례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치료 후 흉터 및 재발 방지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으로 발표되었으며, 피부암의 예방, 조기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에 있어 임상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피부 종양 및 피부암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피부 감염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임상 연구
본 연구실은 연조직염, 괴사성 근막염, 옴 감염, 곰팡이 감염 등 다양한 피부 감염 질환과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임상적, 역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중구-림프구 비율(NLR)과 같은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질환의 예후 예측, 감염의 임상 양상 분석, 최적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임상 현장에서 수집된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감염성 피부질환의 위험인자, 치료 반응, 재발률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항생제 및 항진균제의 내성 양상, 새로운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 평가 등 실질적인 임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과 감염 관리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피부 감염과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 연구도 병행하여, 질환의 발생 기전과 면역 반응, 조직 손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며, 국내외 피부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손발톱 질환 및 피부 재생 연구
손발톱 변형(집게발톱, 조갑감입증 등) 및 손발톱 종양, 색소질환 등 다양한 손발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연구도 본 연구실의 주요 분야입니다. 손발톱 질환의 수술적 교정법, 조직검사법(예: 매트릭스 쉐이브 생검), 그리고 치료 후 합병증 및 재발 방지에 대한 임상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암제 유발 손발톱 손상 회복을 위한 세포치료 및 재생의학적 접근,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신물질(예: rhEGF, 펩타이드 등)의 효능 평가 등 피부 재생 분야에도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피부 이식, 흉터 평가, 피부 재생 촉진제의 임상 적용 등 다양한 재생의학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미용적 만족도 증진에 기여하며, 손발톱 및 피부 재생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임상적 근거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Rare case of bullous pemphigoid occurring on atrophic centers of disseminated superficial porokeratosis lesions
박건, 이승연, 이기훈, Norito Ishii, Takashi Hashimoto, 김종훈, 오칠환
JOURNAL OF DERMATOLOGY, 202111
2
Surgical excision and mucosal advancement flap: Treatment for refractory lichen planus of the lip
박건, 김도현, 임보라, 나가혜, 김은정
DERMATOLOGIC THERAPY, 201809
3
A case of panniculitis caused by Mycobacterium massiliense mimicking erythema induratum
박상현, 채진경, 김은정, 박건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507
1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Pediococcus acidilactici 의 효과(SRCM102024 동결건조분말)
한국식품연구원
2021년 05월 ~ 2022년 12월
2
Pyroptosis 조절을 통한 항암제 유발 배양조갑기질세포 손상의 회복(3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
3
Pyroptosis 조절을 통한 항암제 유발 배양조갑기질세포 손상의 회복(2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0년 03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