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Environmental Nanotechnology Lab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손아정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나노기술 연구실은 환경 내 미생물, 유해화학물질, 신종 오염물질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검출·분석·제거하기 위한 첨단 나노기술과 바이오센서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입자(자성 비드, 양자점 등)와 바이오소재(압타머, DNA 등)를 융합한 혁신적인 유전자 정량 및 오염물질 검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 적용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NanoGene assay, NanoAptamer assay 등 자체 개발한 나노바이오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병원성 미생물, 내분비교란물질(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등), 미세플라스틱, 중금속 등 다양한 환경 유해인자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자동화 분석기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환경시료 내 존재하는 다양한 저해 인자(휴믹산, 금속이온, 단백질 등)에 강인한 분석 성능을 보장하며, 실제 수질, 토양, 대기 등 다양한 환경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그래핀, 보론나이트라이드, MXene, 탄소나노튜브 등 첨단 나노소재를 활용한 오염물질의 흡착, 분해, 분리, 분석 기술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 기반의 하이브리드 공정(흡착-막 결합, 광촉매, 전기촉매, 초음파 처리 등)을 통해, 기존 환경처리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신종 유해물질의 제거 및 분석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소재의 환경 내 거동 및 안전성 평가, 재사용성, 친환경성 확보 등도 함께 연구하여 지속가능한 환경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로 인한 수질 변화, 미세플라스틱 및 환경호르몬의 분포와 규제, 환경블라인드스팟 등 사회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경공학, 나노공학, 생물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기술·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과제, 특허, 논문, 산학협력, 국제학회 발표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환경나노기술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서 환경공학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