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연구실
해양식품공학과 김현수
김현수 연구실은 해양식품생명의학부 소속으로, 해양생물 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과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해양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보고로, 본 연구실은 해조류, 해양 무척추동물, 해양 미생물 등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다당류, 폴리페놀, 알긴산 등 다양한 천연물질의 분리, 정제, 생리활성 평가 및 산업적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와 다당류의 항고혈압,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피부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의 작용기전 및 구조-활성 상관관계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양자원 부산물 및 미이용 자원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대량생산 공정 표준화, 산업화 기반 구축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논문 발표, 특허 출원 및 등록,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해양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고부가가치 해양바이오 산업 창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의 혈압강하 및 항산화 효능 규명, 해조류 다당류의 피부개선 및 면역증강 효과 입증, 해양 미생물 유래 항산화·항염증 소재 발굴 등이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대량생산 및 산업적 활용을 위한 공정 개발, 기능성 평가, 제품화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현수 연구실은 해양생물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융합 연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해양바이오 신소재의 탐색, 기능성 규명, 산업화까지 아우르는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국내외 해양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Osteoclastogenesis Inhibition
Marine Peptides
Anti-Inflammatory Compounds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김현수 연구실은 해양생물, 특히 해조류와 해양 무척추동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과 기능성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해양생물은 풍부한 생화학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항산화, 항염, 항고혈압, 항바이러스, 피부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질의 보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해양생물 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분리, 정제하여 생리활성 평가와 구조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 푸코이단, 폴리페놀, 펩타이드 등은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산업계와의 협력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주 연안 및 라카디브 해역 등 다양한 해역에서 미이용 해양자원을 발굴하여, 이들로부터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확보하고, 대량생산 및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양생물의 생리활성 기전 규명,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고부가가치 해양바이오 산업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산업적 응용 확대와 더불어,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전을 위한 연구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 및 다당류의 항고혈압·항산화 효능 연구
본 연구실은 해양생물, 특히 해조류와 어류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및 다당류의 항고혈압, 항산화, 면역증강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 활성, 혈압 조절, 항산화 활성 등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이며, 최근에는 이들 펩타이드의 구조-활성 상관관계와 작용기전 규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빅벨리 해마, 갈치, 홍조류, 감태 등 다양한 해양생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펩타이드의 생리활성 평가 및 동물실험을 통해 실제 혈압강하 효과, 조직 보호 효과, 항산화 효능 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알긴산, 푸코이단 등 해조류 다당류의 항산화, 항염증, 피부개선, 면역증강 효과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허 출원 및 산업체 기술이전,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상용화와 고부가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 및 다당류의 신규 기능성 탐색과 작용기전 규명, 대량생산 공정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1
Loliolide combat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by oxidative stress through MAPK/Nrf2 pathway in hippocampal neuronal cells
김현수, 천자연, Kirinde Gedara Isuru, Arachchige Maheshika Kumari, 한의정, 박상면, 안긴내, 차선희
Algal Research, 202501
2
Antiviral Activity of Ecklonia cava Extracts and Dieckol Against Zika Virus
김현수, 김은아, 강나래, 허준호, 박아름이, 허성영, 허수진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412
3
Potential blood pressure regulatory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α-chymotrypsin extract and its peptides from Stichopus japonicus: Peptide-ACE interaction study via in silico molecular docking
김현수, 이효근, D.P. Nagahawatta, N.M. Liyanage, 최유리, 오재영, 정원교, 박시형, 전유진
JOURNAL OF FUNCTIONAL FOODS, 202412
1
제주은갈치 부산물과 용암해수 미네랄을 이용한 어간장 레시피 개발
2
[통합EZ-1차]기후별 어종 및 양식, 미이용(부산물) 해양자원 유래 콜라겐 비교와 활용 산업적 고부가가치를 위한 제조, 심화 기능성 탐색 연구
3
[RCMS-3차]알긴산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표준화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