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식품공학전공

이홍진 교수

Inflammation Inhibition

Functional Foods

Breast Cancer Prevention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공학부-식품공학전공 이홍진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과 식품 유래 성분의 건강 증진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세포 배양 및 동물 실험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이 요인의 생리활성 및 만성질환 예방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 성분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산 식물성 소재(사자발약쑥, 녹차, 양파껍질, 당조고추 등)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과 그 효능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식품 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발현 분석, 대사체 분석, 신호전달 경로 탐색 등 첨단 생명공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식품 유래 성분이 암, 비만, 당뇨, 근감소증 등 만성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헤지호그(Hedgehog) 신호전달 경로, AKT/Gli1, mTOR, S6k1 등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가 식품 성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으며, 대사체학,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 오믹스 기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식품 안전성 및 위해평가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차원 간 오가노이드 모델, 세포주, 동물실험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활용하여 식품 내 유해물질의 대사 및 생체 내 영향 평가, 내분비계 교란 활성 평가, 식품 안전성 관련 정책 및 관리 방안 제안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보호와 식품 산업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본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 개발, 만성질환 예방, 식품 안전성 확보 등 식품생명공학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바이오산업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융합 연구와 산학협력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Inflammation Inhibition
Functional Foods
Breast Cancer Prevention
기능성 식품 및 건강 증진 효능 평가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 성분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세포 배양(in vitro) 시스템과 동물 실험(in vivo) 모델을 활용하여 식이 요인(dietary factors)의 건강 증진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 성분이 만성 질환 예방 및 건강 유지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진은 식품 내 유효 성분의 생리활성, 항암, 항염, 항비만, 혈당 조절 등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사자발약쑥, 녹차, 양파껍질, 당조고추 등 국내산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과 그 효능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식품 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성분의 작용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 분석, 대사체 분석, 신호전달 경로 탐색 등 첨단 생명공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맞춤형 건강 증진 전략 수립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식품 유래 성분의 만성질환 예방 및 분자기전 연구
연구실은 식품 유래 성분이 만성질환, 특히 암, 비만, 당뇨, 근감소증 등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헤지호그(Hedgehog) 신호전달 경로, AKT/Gli1, mTOR, S6k1 등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가 식품 성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성분이 암세포의 증식, 지방세포의 분화, 근육세포의 손실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연물 유래 화합물(예: 큐르쿠몰, 아스트라갈로사이드, 비텍신 등)이 암세포의 성장 억제, 지방 축적 억제, 근감소증 예방 등에 미치는 효과와 그 작용 경로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사체학,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 오믹스(omics) 기반 융합 연구를 통해 식품 성분의 생체 내 대사 및 작용 기전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맞춤형 식이 전략 개발과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 근거 마련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식품 안전성 및 위해평가 연구
연구실은 식품 안전성 확보와 위해평가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식품 내 유해물질(예: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오염물질, 잔류농약 등)의 대사 및 생체 내 영향 평가를 위해 3차원 간 오가노이드(organioid) 모델, 세포주, 동물실험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OECD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화학물질 대사체의 내분비계 교란 활성 평가, 식품 유래 유해물질의 체내 대사 및 독성 기전 규명, 식품 안전성 관련 정책 및 관리 방안 제안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보호와 식품 산업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안전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식품 위생, 위해평가, 위해관리, 위해정보 교류 등 식품 안전성 전반에 관한 연구와 정책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소비자들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와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β,β-Dimethylacryloyl Alkannin from Arnebia euchroma Roots Suppresses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Growth via AKT/Gli1 Signaling
Yimeng Zhou, 김진태, 권정원, 이가연, 손희망, Shuai Qiu, 이홍진, 김재원, Hae Na Chi, 한동엽, Thao Quyen Cao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2505
2
The combination of Korean Sajabal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nd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s and that of their major constituents improved blood flow in vitro and in vivo
이홍진, 김종훈, 손문정, 이가연, 김진태, Yimeng Zhou, 권정원, 최정윤, 박경숙, 이정민, 고유진, Shuai Qiu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2504
3
Effect of onion peel extract and quercetin at an equivalent concentration in the extract on the improvement of dyslipidemia induced by high fat diet in rats
손문정, 김진태, 이가연, Yimeng Zhou, 전동현, 권정원, 김민정, 정성근, 김영준, 조재영, 이홍진, 김재환, 변상균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2503
1
3차)헤지호그 신호 기반 식품성분의 근감소증 개선 효능 및 작용기작 규명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RCMS] 3차 사자발약쑥, 녹차 복합물 등의 복합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원료 개발
주식회사 시나몬랩
2024년 ~ 2024년 12월
3
[통합이지바로]2차_헤지호그 신호 기반 식품성분의 근감소증 개선 효능 및 작용기작 규명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