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기능성 식품 및 건강 증진 효능 평가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 성분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세포 배양(in vitro) 시스템과 동물 실험(in vivo) 모델을 활용하여 식이 요인(dietary factors)의 건강 증진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 성분이 만성 질환 예방 및 건강 유지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진은 식품 내 유효 성분의 생리활성, 항암, 항염, 항비만, 혈당 조절 등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사자발약쑥, 녹차, 양파껍질, 당조고추 등 국내산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과 그 효능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식품 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성분의 작용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 분석, 대사체 분석, 신호전달 경로 탐색 등 첨단 생명공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맞춤형 건강 증진 전략 수립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식품 유래 성분의 만성질환 예방 및 분자기전 연구
연구실은 식품 유래 성분이 만성질환, 특히 암, 비만, 당뇨, 근감소증 등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헤지호그(Hedgehog) 신호전달 경로, AKT/Gli1, mTOR, S6k1 등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가 식품 성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성분이 암세포의 증식, 지방세포의 분화, 근육세포의 손실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연물 유래 화합물(예: 큐르쿠몰, 아스트라갈로사이드, 비텍신 등)이 암세포의 성장 억제, 지방 축적 억제, 근감소증 예방 등에 미치는 효과와 그 작용 경로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사체학,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 오믹스(omics) 기반 융합 연구를 통해 식품 성분의 생체 내 대사 및 작용 기전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맞춤형 식이 전략 개발과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 근거 마련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3
식품 안전성 및 위해평가 연구
연구실은 식품 안전성 확보와 위해평가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식품 내 유해물질(예: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오염물질, 잔류농약 등)의 대사 및 생체 내 영향 평가를 위해 3차원 간 오가노이드(organioid) 모델, 세포주, 동물실험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OECD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화학물질 대사체의 내분비계 교란 활성 평가, 식품 유래 유해물질의 체내 대사 및 독성 기전 규명, 식품 안전성 관련 정책 및 관리 방안 제안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보호와 식품 산업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안전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식품 위생, 위해평가, 위해관리, 위해정보 교류 등 식품 안전성 전반에 관한 연구와 정책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소비자들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와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