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한정호 연구실

충북대학교 기초의학전공(의대)

한정호 교수

한정호 연구실

기초의학전공(의대) 한정호

한정호 연구실은 중력렌즈 현상을 활용한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탐색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OGLE, MOA, KMTNet 등 세계적인 중력렌즈 관측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우리 은하 내 다양한 외계행성, 갈색왜성, 자유부유 행성, 그리고 암흑천체(블랙홀, 중성자별 등)의 존재와 특성을 밝히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고감도·고빈도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구 질량 이하의 행성부터 목성형 행성, 갈색왜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량 범위의 외계행성을 검출하고, 이들의 궤도, 질량,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산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중력렌즈를 통해 발견된 천체의 광도, 색, 위치 변화 등 다양한 관측 신호를 분석하여, 기존의 관측 방법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암흑천체의 분포와 특성을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용량·고빈도 중력렌즈 관측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미세한 신호까지 검출할 수 있는 첨단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KMTNet(한국중력렌즈망원경네트워크)와 같은 대규모 관측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24시간 연속 관측이 가능한 전 지구적 망원경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여, 수십만 개에 달하는 광곡선 데이터에서 행성 신호, 갈색왜성, 이중성, 삼중성 등 복잡한 천체의 존재를 자동으로 분류·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은하 내 행성계의 다양성과 분포, 암흑물질의 정체, 별의 진화 과정 등 천문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대형망원경 및 우주망원경과 연계한 중력렌즈 관측, 인공지능 기반 신호 탐지 등 첨단 기법을 도입하여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연구의 지평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중력렌즈 이론 연구, 관측 데이터의 정밀 분석, 새로운 신호 검출 알고리즘 개발, 그리고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천문학의 다양한 분야와 융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천문학계의 발전과 차세대 연구 인력 양성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력렌즈를 이용한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탐색
한정호 연구실은 중력렌즈 현상을 활용하여 외계행성, 갈색왜성, 자유부유 행성, 그리고 암흑천체(예: 블랙홀, 중성자별 등)의 탐색과 특성 분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력렌즈는 멀리 있는 천체의 빛이 그 앞을 지나가는 질량체의 중력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이 효과를 정밀하게 관측함으로써 빛을 내지 않는 천체의 존재와 물리적 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OGLE, MOA, KMTNet 등 세계적인 중력렌즈 관측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국제 협력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고감도·고빈도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구 질량 이하의 행성, 목성형 행성, 갈색왜성 등 다양한 질량 범위의 외계행성을 검출하고, 이들의 궤도, 질량,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산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중력렌즈를 통해 발견된 천체의 광도, 색, 위치 변화 등 다양한 관측 신호를 분석하여, 기존의 관측 방법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암흑천체의 분포와 특성을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은하 내 행성계의 다양성과 분포, 암흑물질의 정체, 별의 진화 과정 등 천문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대형망원경 및 우주망원경과 연계한 중력렌즈 관측, 인공지능 기반 신호 탐지 등 첨단 기법을 도입하여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연구의 지평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차세대 중력렌즈 관측 및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대용량·고빈도 중력렌즈 관측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미세한 신호까지 검출할 수 있는 첨단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KMTNet(한국중력렌즈망원경네트워크)와 같은 대규모 관측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24시간 연속 관측이 가능한 전 지구적 망원경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훨씬 더 많은 중력렌즈 사건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외계행성 및 다양한 천체의 신호를 놓치지 않고 포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구실은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여, 수십만 개에 달하는 광곡선(light curve) 데이터에서 행성 신호, 갈색왜성, 이중성, 삼중성 등 복잡한 천체의 존재를 자동으로 분류·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시중력렌즈 사건의 광곡선 모델링, 파라미터 추정, 신호 검증 등 전 과정에 걸쳐 정밀한 통계적 방법론과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검출 신뢰도를 높이고 오검출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단순히 외계행성 탐색을 넘어, 우리 은하 내의 암흑물질 분포, 별의 질량함수, 이중성 및 삼중성계의 통계적 특성 등 다양한 천체물리 현상 연구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우주망원경, 초대형 지상망원경 등과 연계한 빅데이터 기반의 중력렌즈 연구를 선도하며, 천문 데이터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1
Four Planets Found through Microlensing Events Involving Faint Source Stars
한정호, Albrow Michael D., Lee Chung-Uk, Chung Sun-Ju, Gould Andrew, Hwang Kyu-Ha, Jung Youn Kil, Ryu Yoon-Hyun, Shvartzvald Yossi, Shin In-Gu, Yee Jennifer C., Yang Hongjing, Zang Weicheng, Cha Sang-Mok, Kim Doeon, Kim Dong-Jin, Kim Seung-Lee, Lee Dong-Joo, Lee Yongseok, Park Byeong-Gon, Pogge Richard W.
ASTRONOMICAL JOURNAL, 202506
2
Analyses of anomalous lensing events detected from the UKIRT microlensing survey
한정호, Zang Weicheng, Udalski Andrzej, Lee Chung-Uk, Bond Ian A., Wen Yongxin, Ma Bo, Albrow Michael D., Chung Sun-Ju, Gould Andrew, Hwang Kyu-Ha, Jung Youn Kil, Ryu Yoon-Hyun, Shvartzvald Yossi, Shin In-Gu, Yang Hongjing, Yee Jennifer C., Kim Doeon, Kim Dong-Jin, Cha Sang-Mok, Kim Seung-Lee, Lee Dong-Joo, Lee Yongseok, Park Byeong-Gon, Pogge Richard W., Mroz Przemek, Szymanski Michal K., Skowron Jan, Poleski Radoslaw, Soszynski Igor, Pietrukowicz Pawel, Kozlowski Szymon, Rybicki Krzysztof A., Iwanek Patryk, Ulaczyk Krzysztof, Wrona Marcin, Gromadzki Mariusz, Mroz Mateusz J., Abe Fumio, Bando Ken, Bennett David P., Bhattacharya Aparna, Fukui Akihiko, Hamada Ryusei, Hamada Shunya, Hamasaki Naoto, Hirao Yuki, Ishitani Silva Stela, Koshimoto Naoki, Matsubara Yutaka, Miyazaki Shota, Muraki Yasushi, Nagai Tutumi, Nunota Kansuke, Olmschenk Greg, Ranc Clement, Rattenbury Nicholas J., Satoh Yuki, Sumi Takahiro, Suzuki Daisuke, Terry Sean K., Tristram Paul J., Vandorou Aikaterini, Yama Hibiki
ASTRONOMY & ASTROPHYSICS, 202504
3
Microlensing events indicate that super-Earth exoplanets are common in Jupiter-like orbits
한정호, Weicheng Zang, 정연길, 이충욱, Shude Mao, Jennifer C. Yee, 황규하, Hongjing Yang, Andrzej Udalski, Takahiro Sumi, Andrew Gould, Michael D. Albrow, 정선주, 류윤현, 신인구, Yossi Shvartzvald, 차상목, 김동진, 김현우, 김승리, 이동주, 이용석, 박병곤, Richard W. Pogge, Xiangyu Zhang, Renkun Kuang, Hanyue Wang, Jiyuan Zhang, Zhecheng Hu, Wei Zhu, Przemek Mroz, Jan Skowron, Radosław Poleski, Michał K. Szyman´ski, Igor Soszyn´ski, Paweł Pietrukowicz, Szymon Kozłowski, Krzysztof Ulaczyk, Krzysztof A. Rybicki, Patryk Iwanek, Marcin Wrona, Mariusz Gromadzki, Fumio Abe, Richard Barry, David P. Bennett, Aparna Bhattacharya, Ian A. Bond, Hirosane Fujii, Akihiko Fukui, Ryusei Hamada, Yuki Hirao, Stela Ishitani Silva, Yoshitaka Itow, Rintaro Kirikawa, Naoki Koshimoto, Yutaka Matsubara, Shota Miyazaki, Yasushi Muraki, Greg Olmschenk, Clement Ranc, Nicholas J. Rattenbury, Yuki Satoh, Daisuke Suzuki, Mio Tomoyoshi, Paul J. Tristram, Aikaterini Vandorou, Hibiki Yama, Kansuke Yamashita
SCIENCE, 202504
1
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복잡계 행성 분석 및 발견(5/5)
한국연구재단(과기부)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2
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복잡계 행성 분석 및 발견
한국연구재단(과기부)
2022년 03월 ~ 2023년 02월
3
중력렌즈를 이용한 미시적/거시적 천체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연구재단(과기부)
2022년 03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