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중력렌즈를 이용한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탐색
한정호 연구실은 중력렌즈 현상을 활용하여 외계행성, 갈색왜성, 자유부유 행성, 그리고 암흑천체(예: 블랙홀, 중성자별 등)의 탐색과 특성 분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력렌즈는 멀리 있는 천체의 빛이 그 앞을 지나가는 질량체의 중력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이 효과를 정밀하게 관측함으로써 빛을 내지 않는 천체의 존재와 물리적 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OGLE, MOA, KMTNet 등 세계적인 중력렌즈 관측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국제 협력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고감도·고빈도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구 질량 이하의 행성, 목성형 행성, 갈색왜성 등 다양한 질량 범위의 외계행성을 검출하고, 이들의 궤도, 질량,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산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중력렌즈를 통해 발견된 천체의 광도, 색, 위치 변화 등 다양한 관측 신호를 분석하여, 기존의 관측 방법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암흑천체의 분포와 특성을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은하 내 행성계의 다양성과 분포, 암흑물질의 정체, 별의 진화 과정 등 천문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대형망원경 및 우주망원경과 연계한 중력렌즈 관측, 인공지능 기반 신호 탐지 등 첨단 기법을 도입하여 외계행성 및 암흑천체 연구의 지평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2
차세대 중력렌즈 관측 및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대용량·고빈도 중력렌즈 관측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미세한 신호까지 검출할 수 있는 첨단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KMTNet(한국중력렌즈망원경네트워크)와 같은 대규모 관측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24시간 연속 관측이 가능한 전 지구적 망원경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훨씬 더 많은 중력렌즈 사건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외계행성 및 다양한 천체의 신호를 놓치지 않고 포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구실은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여, 수십만 개에 달하는 광곡선(light curve) 데이터에서 행성 신호, 갈색왜성, 이중성, 삼중성 등 복잡한 천체의 존재를 자동으로 분류·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시중력렌즈 사건의 광곡선 모델링, 파라미터 추정, 신호 검증 등 전 과정에 걸쳐 정밀한 통계적 방법론과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검출 신뢰도를 높이고 오검출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단순히 외계행성 탐색을 넘어, 우리 은하 내의 암흑물질 분포, 별의 질량함수, 이중성 및 삼중성계의 통계적 특성 등 다양한 천체물리 현상 연구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우주망원경, 초대형 지상망원경 등과 연계한 빅데이터 기반의 중력렌즈 연구를 선도하며, 천문 데이터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