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정자 연구실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김정자 교수

Postural Balance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Systems

김정자 연구실

바이오메디컬공학부 김정자

김정자 연구실은 바이오메디컬공학부 소속으로, 생명정보학과 재활복지공학을 융합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의료 및 생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단백질 구조, 유전자 서열 등 다양한 생명정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신경망, 기계학습 등 최신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족부 질환, 척추측만증, 골반 비대칭 등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처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의료 솔루션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 신호 분석, 생체역학적 특성 평가, 의료기기 데이터 통합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의료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와 새로운 의료 지식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령자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재활복지공학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행 보조기, 필기 보조기, 스마트 신발, 맞춤형 인솔 등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개발하여, 사용자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맞춤형 재활 및 운동 처방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퀴/무한궤도 가변형 스마트 보행보조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다기능 보행 보조 시스템, 척추측만증 환자 맞춤형 3차원 재활훈련 시스템 등 혁신적인 재활기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센서 융합, IoT,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실제 임상 및 복지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개발 성과는 특허 출원, 산학협력, 정부과제 수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환원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와 산업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김정자 연구실은 앞으로도 의료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 재활기기 개발,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고령화 사회와 다양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바이오메디컬공학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입니다.

Postural Balance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Systems
생명정보학 및 데이터마이닝 기반 의료 빅데이터 분석
김정자 연구실은 생명정보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료 및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단백질 구조, 유전자 서열 등 다양한 생명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신경망 등 첨단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 정밀의료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결정트리, 신경망, 연관규칙 탐사 등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족부 질환, 척추측만증, 골반 비대칭 등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처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의료진의 진단 정확도 향상과 환자 맞춤형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 신호 분석, 생체역학적 특성 평가, 의료기기 데이터 통합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와 분석, 그리고 새로운 의료 지식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와 저널에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재활복지공학 및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개발
연구실은 고령자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재활복지공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보행 보조기, 필기 보조기, 스마트 신발, 맞춤형 인솔 등 고령자와 시각장애인, 척추측만증 환자 등 다양한 대상자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들은 사용자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맞춤형 재활 및 운동 처방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바퀴/무한궤도 가변형 스마트 보행보조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다기능 보행 보조 시스템, 척추측만증 환자 맞춤형 3차원 재활훈련 시스템 등 혁신적인 재활기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센서 융합, IoT,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및 복지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첨단 재활복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개발 성과는 특허 출원, 산학협력, 정부과제 수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환원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와 산업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Comparison of writing speed, letter size, and upp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two writing aids: evaluation with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김정자, 정지용
Applied Sciences-Basel, 202412
2
The effect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llator on the elderly`s gait strategies in various walking environments
정지용, 김정자
Applied Sciences-Basel, 202310
3
Decision tree-based foot orthosis prescription for patients with pes planus
김정자, 정지용, 양창민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210
1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을 위한 바퀴/무한궤도 가변형 스마트 보행보조기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2024년 SW중심대학사업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
3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다기능 보행 보조 시스템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