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한국 AI 텍스트 기반 NLP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22.7%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한국어에 특화된 KULLM 도입을 통해 급성장하는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한국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 분야 NLP 시장은 2030년까지 7억 6,560만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됩니다. 본 연구실의 신뢰성 높은 QA 기술은 고부가가치 전문 분야 시장 진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국내 텍스트 기반 NLP 시장 규모는 2025년 2억 1,102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정보 추출 및 분석 기술은 이러한 시장의 근간을 이루며, 도입 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한국어 대규모 언어 모델(Korean Large Language Model, KULLM) 개발
최근 연구실은 '한국형 ChatGPT'로 불리는 KULLM(Korea University Large Language Model)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한국어 특화 언어 모델의 상용화 및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자체 서버 및 클라우드 인프라(RTX8000, A6000, A100, H100 GPU 등)를 바탕으로 방대한 한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한국어 자연어 처리 최적화를 목표로 합니다. KULLM은 문장 생성, 대화 응답, 오류 수정, 지식 기반 추론 등 다양한 언어 생성 태스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한국어가 갖는 고유한 문법 및 통사 구조를 반영한 토크나이저 및 알고리즘 기법을 적용합니다 . 이 연구는 국내 최초 수준의 한국어 LLM 응용 구현으로, 국내외 학회(ACL, EMNLP, NAACL, EACL, ICLR 등)에서 지속적으로 논문을 발표하며 최첨단 업적을 내고 있습니다.
한국어 LLM
KULLM
GPT
거대 언어 모델
한국어 토크나이저
한국어 문법 특화
2
대화 시스템 및 질의응답 (Dialogue & Question Answering)
연구실은 Task‑oriented 대화 시스템, Persona‑based 챗봇, Open‑domain 질의응답 등 대화 중심의 자연어 처리 모델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Dialogue State Tracking(DST), 대화 응답 선택(Conversational Response Selection), QA, 질문 생성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연구하며, 특히 지식 기반 QA(ODQA, Long‑form QA)와 QA 생성(QG)에 대한 성능 향상 기법도 다룹니다. 또한 오류 수정을 위한 QA 기반 Grammar Error Correction, Post‑Editing 자동화 등 후처리 기법에도 연구하며, 사실 일관성을 높이는 방법론(Metric‑guided Feedback Learning) 연구를 통해 LLM의 환각 문제를 완화하고 있습니다.
DST
오픈도메인 QA
질문 생성
대화 응답 모델
Grammar Error Correction
Metric‑based feedback
환각 완화
3
정보 추출·지식 그래프 및 사회적 NLP (Information Extraction & Social NLP)
Named Entity Recognition(NER), Relation Extraction(RE), Entity Linking(EL), Knowledge Base Completion(Population) 등 구조화된 정보 추출과 지식 그래프 구축 기술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회 기반 연구로 Fake News/ Hate Speech detection, 편향 탐지 및 제거, 사회적 맥락에서의 NLP 이슈 분석도 수행하며, 특히 한국 사회에서의 언어 편향과 독성 요소를 진단하고 해소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KoCommonGEN v2’, ‘K‑HALU’, ‘REVISE’ 등 한국어 상식 추론, 환각 검출, OCR 텍스트 정제 및 모델 수정 프레임워크 등 혁신적인 벤치마크와 시스템을 제안해 EMNLP·ACL·NAACL 등 주요 학회에 다수 채택되었습니다
정보추출
NER
Entity Linking
지식 그래프
사회적 편향 감지
Fake News 탐지
상식 추론
Benchmarks
모델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