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자연어 처리 연구실

고려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임희석 교수

한국어 초거대 언어 모델 (KULLM / Korea University Large Language Model)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임베딩 기반 검색 (Dense & Term‑based Retrieval / KURE)

머신 번역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자연어 생성 (Natural Language Generation)

프로젝트 공고 바로가기

자연어 처리 연구실

컴퓨터공학과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공학과 NLP & AI 연구실은 한국어 자연어처리(Korean NLP) 및 거대언어모델(LLM)을 중심으로 데이터 중심 언어 모델링, 한국어 상식 추론, 텍스트 품질 필터링, OCR 텍스트 보정, Hallucination 정량 평가, 문장 임베딩 및 언어 전이 최적화 등 다양한 최신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ACL, NAACL, EMNLP, ICLR, COLING 등 국제 최상위 학회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며, KoCommonGEN v2, K-HALU, Dataverse, Open Ko-LLM Leaderboard, REVISE, MIRAGE 등 연구성과를 통해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우수논문상을 포함한 다수의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임희석 교수는 고려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속으로, AI 및 NLP 분야에서 뛰어난 학문적 업적과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으며, 연구실은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과 평가 데이터셋 구축,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오류 검출 및 편향 평가, 토큰화 전략 연구 등 한국어 특화 연구를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연구실은 체계적인 멘토링과 국제 학회 경험 제공을 통해 NLP 분야의 실질적 전문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초거대 언어 모델 (KULLM / Korea University Large Language Model)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임베딩 기반 검색 (Dense & Term‑based Retrieval / KURE)
머신 번역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자연어 생성 (Natural Language Generation)
지식 기반 및 상식 추론 (Knowledge Base Population / Commonsense Reasoning)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 Quality Estimation / Automatic Post‑Editing
Social NLP: 허위정보 탐지 및 편향 분석 (Fake News, Bias Detection & Mitigation)
한국어 LLM 특화 연구 및 probing
Parameter‑Efficient Fine‑Tuning (PEFT) 기법
연구실 하이라이트
연구실의 정보를 AI가 요약해서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두었어요
독보적기술
한국어 초거대 언어 모델(LLM) 기술 선도
AI 요약 확인하기
학술성과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적 성과 및 리더십
AI 요약 확인하기
기술파급력
LLM의 신뢰성 문제 해결: 환각(Hallucination) 정량 평가 및 완화
AI 요약 확인하기
산업생태계
한국어 NLP 산업 생태계 구축 및 기여
AI 요약 확인하기
연구자역량
최고 수준의 AI 인재 배출 및 양성
AI 요약 확인하기
연구인프라
대규모 모델 학습을 위한 압도적인 연구 인프라
AI 요약 확인하기
맞춤형 인사이트 리포트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연구 트렌드부터 공동 연구 방향성 기획까지
연구실과 같이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무료 리포트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