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인하대학교 재료합성연구실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이진균 교수

Semiconducting Polymers

Hydrogel Composite Materials

Fluorinated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인하대학교 재료합성연구실

고분자공학과 이진균

인하대학교 재료합성연구실은 고분자공학 분야에서 정보 및 전자용 고분자 소재의 혁신적인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자 재료의 분자 설계, 합성, 그리고 이들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제어를 통해 차세대 전자소자 및 정보기술 응용에 적합한 고성능 소재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반도체, 전도성 고분자, 기능성 고분자 복합체 등 다양한 고분자 기반 소재의 합성과 특성 평가를 통해 새로운 전자소자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극자외선(EUV) 및 전자빔 리소그래피용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 소재 개발입니다. 고불소화 고분자는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과 우수한 용해 특성을 바탕으로, 미세 패턴 형성에 필수적인 고해상도, 저잔류, 저손상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불소화 고분자 및 단분자 레지스트의 합성, 감광 특성 평가, 패턴 형성 메커니즘 분석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OLED 등 첨단 소자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세 패턴 기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고분자 기반의 유연 전자소자, 고유전율 절연체, 고성능 투명 전극, 바이오센서, 마이크로/나노 패터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소재와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소재의 대량 합성 및 공정 최적화, 산업적 응용을 위한 신뢰성 평가에도 힘쓰며, 산학연 협력 및 기술이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고분자 소재 및 포토레지스트 분야의 기술적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고집적화, 고해상도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신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정보전자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첨단 소재 및 소자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하대학교 재료합성연구실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고분자공학 및 정보전자 소재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Semiconducting Polymers
Hydrogel Composite Materials
Fluorinated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정보/전자용 고분자 소재 개발
인하대학교 재료합성연구실은 정보 및 전자 분야에 특화된 고분자 소재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고분자 재료의 분자 구조 설계와 합성, 그리고 이들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제어를 통해 차세대 전자소자 및 정보기술 응용에 적합한 고성능 소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반도체, 전도성 고분자, 그리고 다양한 기능성 고분자 복합체의 합성 및 특성 평가를 통해 새로운 전자소자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재료의 미세구조 제어와 나노스케일 패터닝 기술을 결합하여, 트랜지스터, 센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기반 소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고분자 혼합 이온-전자 전도체의 비평형 수송 현상, 고성능 투명 전극, 고유전율 절연체, 그리고 유연 전자소자용 고분자 복합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소재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고분자 소재의 대량 합성 및 공정 최적화, 그리고 산업적 응용을 위한 신뢰성 평가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정보/전자 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고분자 소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기술이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극자외선(EUV) 및 전자빔 리소그래피용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
본 연구실은 극자외선(EUV) 및 전자빔 리소그래피 공정에 적합한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 소재 개발에 있어 국내외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불소화 고분자는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과 우수한 용해 특성을 바탕으로, 미세 패턴 형성에 필수적인 고해상도, 저잔류, 저손상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불소화 고분자 및 단분자 레지스트의 합성, 감광 특성 평가, 패턴 형성 메커니즘 분석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는 EUV 및 전자빔 조사 시 높은 감도와 우수한 패턴 품질(선폭, 패턴거칠기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분자 구조를 정밀하게 설계합니다. 또한, 고불소계 용제와의 상용성, 패턴 현상 및 제거 공정에서의 화학적 침해 최소화, 후속 열처리 불필요성 등 실용적 장점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OLED 등 첨단 소자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세 패턴 기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고불소화 포토레지스트 분야의 기술적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고집적화, 고해상도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신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하고 있습니다.
1
Non-equilibrium transport in polymer mixed ionic-electronic conductors at ultrahigh charge densities
Dionisius H. L. Tjhe, Xinglong Ren, Ian E. Jacobs, Gabriele D’Avino, Tarig B. E. Mustafa, Thomas G. Marsh, Lu Zhang1,, Yao Fu, Ahmed E. Mansour, Andreas Opitz, Yuxuan Huang, Wenjin Zhu, Ahmet Hamdi Unal, Sebastiaan Hoek, Vincent Lemaur, Claudio Quarti, Qiao He, 이진균, Iain McCulloch, Martin Heeney, Norbert Koch, Clare P. Grey, David Beljonne, Simone Fratini, Henning Sirringhaus
NATURE MATERIALS, 2024
2
Solubility Change Behavior of Fluoroalkyl Ether-Tagged Dendritic Hexaphenol under Extreme UV Exposure
오현택, 김가영, 정석헌, 구예진, 이진균, 김강현, 박병규, 이상설, 고차원, 니시 츠네히로, 김현우
ACS OMEGA, 2024
3
Additive effect of poly(N-methylaniline) coated Fe3O4 composite particles on carbonyl iron based magnetorheological fluid
왕시조, 박채원, 권용구, 진형준, 이진균, 최형진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2024
1
첨단부품소재 글로벌인재양성사업(1차년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년 05월 ~ 2025년 04월
2
4,000ppi 이상의 마이크로 OLED 패널 제조를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및 증착 공정 최소화 기술 개발(1차년도)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3
(국고-5차년도)미세 플라스틱 전주기 제어 융합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